장백 산맥

한자 長白 山脈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길림성  흑룡강성  요령성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지명/자연 지명
면적 4,500㎢
높이 2,691m(백운봉, 중국) 2,750m(장군봉, 북한)
특기 사항 시기/일시 2007년
전구간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정의

중국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와 북한양강도 삼지연군에 걸쳐 있는 백두산을 중심으로 하여 남북으로 뻗어 울릉도, 독도로 이어지는 화산맥.

개설

장백 산맥은 중국 동북의 유명한 산맥이다. 송화강(松花江), 도문강(圖們江)[두만강]과 압록강의 발원지로서 중국동북 지구의 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길림성, 요령성(遼寧省), 흑룡강성(黑龍江省)의 동부에 위치한다. 삼림이 무성하고 수직 분포가 명확한 백두산은 중국의 중요한 임구(林區)로 몇 번의 화산 폭발에 의해 형성되었다.

광의의 백두산은 장백 산지를 말하는데 중국동북 지구 동부 산지의 총칭이다. 완달산(完達山) 북쪽 끝으로부터 남쪽으로 천산(千山) 산맥의 노철산(老鐵山) 까지를 말하는데 길이는 약 1,300여 ㎞이고 동서 넓이는 400여 ㎞이다.

협의의 백두산은 장광재령(張廣才嶺), 위호령, 용암산맥, 동쪽의 장백 산맥 그리고 백두산의 화산 추체와 그 주위의 용암 고원, 동북 서남향 산지를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해발고도가 800m에 달한다.

명칭 유래

백두산은 주봉의 꼭대기에 흰색의 화산재가 많고 오랫동안 눈이 덮여 있어 항상 하얗다는 의미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산해경』에서는 불함산(不咸山)이라고 불렀고 북위 시기에는 도태산(徒太山)이라고 불렀다. 당대(唐代)에 이르러 태백산이라 고쳐 불렀고 최근에 와서야 백두산이라고 불렀다.

중국 금대(金代)인 1172년에는 영응산(靈應山)이라 하여 제사를 지냈으며, 청대(淸代)에는 이곳이 왕조인 애신각라(愛新覺羅)의 발상지라 하여 숭배하였다.

자연 환경

백두산은 중국동북 지구에서 강수량이 제일 많은 곳 중의 하나이다. 연평균 기온은 6∼8℃, 최고 기온 18∼20℃, 1월 평균 기온 –23℃[최저 –47℃], 1월의 평균 일교차는 7.5℃, 7월의 평균 일교차는 4.8℃이다. 연평균 상대 습도는 74%이며 여름에 가장 높고 겨울에 낮다. 북서풍과 남서풍이 강하게 불고 최대 풍속은 40m/s, 연중 강풍 일수는 270일이다.

7~8월에 안개가 끼는 날수는 33일 가량이다. 구름이 많고 천둥 현상이 잦으며 주로 눈·비를 동반한다. 벼락 회수는 연간 약 50회이고 그중 60∼70%는 6∼7월에 집중된다. 연평균 강수량은 1,500㎜이며, 겨울 날씨가 연중 230일 정도 계속된다.

산지의 남부는 난온대에 속하여 하록(夏綠) 활엽림이 주를 이루고 중부는 전형적인 온대 침활 혼교림이다. 또한 산지 남부는 중북 준지대에 속하고 북부는 길흑 헤르시니아 서쪽 습곡지대 속해 있다. 산지는 주로 화강암, 현무암, 편마암과 편암으로 이루어져 있고 화강암 면적이 가장 넓게 분포되어 있다. 현무암은 주로 목단강 유역과 백두산 주위에 분포되어 있다.

백두산에는 검은담비, 수달, 표범, 호랑이, 사향노루, 사슴, 백두산사슴, 산양, 큰곰 등의 희귀 동물과 204종의 조류가 서식하며 천지에는 천지 산천어가 살고 있다. 300과 2,700여 종의 식물이 분포하는데 가문비나무, 종비나무, 잎갈나무, 좀잎갈나무, 백두산 자작나무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비교적 분포 속도가 빠른 식물종이 다른 지역보다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빙하기 이후 고산 조건에 적응한 한대성 식물들이 자란다.

현황

백두산은 해발 고도가 높아 수직 자연 경관대가 뚜렷하다. 중국에서는 1960년에 장백산[백두산] 보호구를 건립하고 유엔의 국제 생물권 보류지 조성 부분으로 지정되었다. 산 정상에는 칼데라호인 천지(天池)가 있는데 면적 9.165㎢, 평균수심 213m, 최대수심 384m이다. 천지의 물은 높이 67m의 장백 폭포(長白瀑布)가 되어 이도백하(二道白河)로 떨어져 송화강(松花江)으로 흐른다.

장백 산지에는 석탄, 철, 구리 등 광산 자원이 풍부하며, 중국의 중요한 임업 목재 기지이다. 경제림은 80여 종이나 되며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홍송의 고향’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이외에도 장백 미인송 등의 특산지이기도 하며 약용 식물이 300여 가지가 되는데 성산 인삼, 오미자 등 약재들이 있다. 동북 호랑이, 매화꽃 사슴, 단정학 등 중국 국가 1급 보호 동물이 있다.

백두산은 중국의 5악과 견줄 수 있을 만큼 유명하다. 2007년 중국 국가에서는 처음으로 장백산[백두산]을 AAAAA급풍경구로 지정하였다.

참고문헌
  • 장성규, 『백두대간의 역사』(한국학술정보, 2010)
  • 이서행, 김정배, 『백두산 현재와 미래를 말한다』(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 홍시환, 「백두산과 천지」(『한국동굴학회지』30, 1992)
  • 김종홍, 윤경원, 「백두산과 북한의 상록활엽수」(『한국생태학회지』21-5, 한국생태학회, 1998)
  • 강위옥 외, 「중국 長白山 일대의 진달래(Rhododendron mucronulatum var. mucronulatum), 산진달래(R. dauricum), 철쭉(R. schlippenbachii)의 분포 및 생태적 특성」
  • 『한국환경과학회지』 20-4호, (한국환경과학회, 2011)
  • 주위홍, 조광란, 조양, 「長白山濕地生態旅游資源類型劃分及開發潜力評價硏究」(『관광경영연구』16-3, 2012)
  • 김영화 외, 「중국 장백산의 습지성 진달래과 식물 분포와 생태적 특성」(『한국환경과학회지』22, 한국환경과학회, 2013)
  • 胡亞幹 等, 「長白山火山區几何形變的聯合反演」(『大地測量與地球動力學』24-4, 國家地震局地震研究所, 2004)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