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五常市 山河鎮 洪德 朝鮮族 小學校 |
|---|---|
| 분야 | 문화·교육/교육 |
| 유형 | 기관 단체/학교 |
| 지역 | 흑룡강성 하얼빈시 오상시 산하진 |
| 시대 | 현대/현대 |
| 개교 시기/일시 | 1934년 |
|---|---|
| 개칭 시기/일시 | 1934년 |
| 개칭 시기/일시 | 1940년 |
| 개칭 시기/일시 | 1945년 9월 |
| 개칭 시기/일시 | 1992년 |
| 관련 사항 시기/일시 | 1997년 3월 |
| 현 소재지 | 흑룡강성 오상시 산하진 |
흑룡강성 오상시 산하진에 있던 조선족 소학교.
오상시 산하진 홍덕 조선족 소학교는 1934년 오상시 산하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설립 초기 교명은 오상현 학교조합 공립 산하 보통학교였고, 한창발이 제1대 교장을 맡았다. 당시 4명의 교원이 77명의 학생을 가르쳤으며, 산하진에 귀속된 동진촌을 비롯한 8개의 촌과 둔에 살고 있는 학생들이 본교에 다니고 있었다.
홍덕 조선족 소학교는 사립 학교와 초등학교 등 총 4개의 학교로 구성되었다. 1940년에 교사를 학교 서문밖에 이전하면서 오상현 공립 산하 숭의 국민 우급 학교로 교명이 바뀌었고, 일본인이 교장을 맡았다. 1945년 9월에 조선 독립 동맹 인사들이 원 교사에 조선족 소학교를 꾸렸는데, 교명을 서란현립 산하 조선인 완전 소학교로 개칭하였다. 1965년에 학생 수는 늘어나 320명에 달했고, 교원은 12명에 달했다.
1992년에 본교 졸업생 농민 기업가인 임홍덕이 위안화 100여 만 원을 투자하여 새 교사를 지었다. 이에 오상시 정부에서는 그의 민족 교육 사업에 대한 공헌을 기념하고자 교명을 홍덕 조선족 소학교로 바꾸고 임홍덕을 명예 교장으로 모셨다. 1997년 3월에는 1969년에 설립된 산하진 동진 소학교를 합병하였다.
오상시 산하진 홍덕 조선족 소학교 구성원들은 한인[조선족]이 중국에서 생존, 발전하려면 민족의 자질을 높여야 한다는 인식을 같이 했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조선민족의 후학 양성에 노력을 아끼지 않았다.
개혁개방 후 십여 년 간의 교수 연구 개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성, 지구 및 시의 표창을 여러 차례 받았다. 학생들을 위해서는 다양한 동아리 활동을 조직하였고, 예의범절 교육에서도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1998년까지만 하여도 오상시 산하진 홍덕 조선족 소학교에는 학전반 18명을 포함하여 모두 235명의 학생이 공부하고 있었고, 20명의 교직원이 학생들을 가르쳤다. 개교 이래 1,840명의 졸업생을 배출하기도 했다.
하지만 학생 수가 점차 줄어들어 2005년에는 39명에 5개의 학급만 운영되고 있었다. 2005년 당시 심영택이 교장을 맡고 있었으며, 학교 건축 면적은 785㎡이었다. 2009년에는 26명의 학생이 남아 있었고 교장은 최명욱이었다.
조선족 학교에 학생 수가 줄어드는 현상에 대비해 홍덕 조선족 소학교는 오상시 남부에 위치한 조선족 마을의 촌 간부들과 만나 우리말과 글을 배워야 할 필요성과 민족 교육을 유지하고 발전시켜야 할 의무에 대해 설명했다. 그 과정에서 홍덕 조선족 소학교 입학생에게는 위안화 500원[RMB]씩을 보조하는 등 적극적인 조치를 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