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얼빈시 동력구 조선족 소학교

한자 哈爾濱市 動力區 朝鮮族 小學校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기관 단체/학교
지역 중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인가 시기/일시 1963년 9월
이전 시기/일시 1988년
개칭 시기/일시 1966년|1977년|2007년
최초 설립지 동력구 제9중학교 학생 기숙사
현 소재지 하얼빈시 동력구 민생로 153호
성격 소학교
설립자 정현주 초대교장
전화 0451-82617489
홈페이지 http://www.donglichaoxiao.com/
정의

중국흑룡강성 하얼빈시 동력구에 위치한 전일제 조선족 초등학교.

교육 목표(교훈 포함)

원형의 교휘는 학교의 선생님과 학생들이 서로 단결하고 진취적이며 화합하여 발전을 이루는 것을 나타낸다. 빨강색은 D 파란색은 L 동력의 한어병음이다. 사람이 운동하는 것을 형상화하여 학교가 젊고 패기가 있음을 나타내면서 우수한 인재를 배양한다는 뜻이다. 빨강색은 활력, 기세등등함을 나타낸다. 파란색은 깊고 넓음을 나타내고, 녹색은 건강과 희망을 나타낸다.

변천

하얼빈시 동력구 조선족 소학교는 50여년의 유구한 역사와 문화를 가지고 있다. 1963년 이전에는 하얼빈시에는 유일하게 도리구에 조선족소학교가 있었다. 이에 많은 학부모들이 새로운 소학교 개교를 열망하여 1963년 9월에 설립되었는데 당시 남강구, 도리구, 향방구 등 지역에서 모여들었다. 초기 학교명은 하얼빈시동력조선족소학교였다. 초기 교장은 정현주였으며, 학생 170명, 교원 10명이고 교사는 당시 동력구 제9중학교의 낡은 학생 기숙사건물을 사용하였다. 1977년 중학반을 설치하여 학생 500여명, 교직원 30여명이 있었다. 중학반은 2년 유지하다가 100여명 학생이 하얼빈시조선족제1중학교로 전학하였다. 1986년 제9중학교 운동장 동쪽에 중국돈 38만원을 투자하여 건축면적 1,330㎡ 에 3층 새 교사를 지었다. 1988년 동력조선족학교, 제9중학교와 제15직업고중이 서로 교사를 바꾸게 되어 동력조선족학교는 동력구 민생로 153번지 원래 제15직업고중 자리로 교사를 옮겼다. 그러나 여전히 교사가 작고 낡아 규범화학교를 꾸리는데 지장이 많아 하얼빈시와 동력구 교육위원회에서는 중국돈 800만원정도를 투자하여 건축면적 4,773㎡의 5층 새 교사를 짓고 2001년 10월 28일에 낙성식을 거행하였다. 당시 16개 교실, 컴퓨터실, 전기화수업실, 자연실험실, 노동기술학습실, 음악실, 무용실, 도서실, 체육관 등을 갖춘 현대적인 학교로 건설되었다. 2007년 8월 15일 시교육국의 허가로 하얼빈시동력조선족소학교로 이름을 바꾸었다.

교육 활동

1989년에 시규범화학교로 명명되었고, 1989년부터 여러 차례 성 시 구의 학교 운영 조선 개선 선집집체 민족단결선진집체로 선발되어 표창을 받았다. 근래에 들어서는 영어, 체육, 문예, 서예 등 과외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 김주양 학생은 전국대회 및 아시아 소년노래콩쿨에서 일등상 및 특등상을 수상하였다. 매년 진행되는 각종 경연에서 많은 학생들이 우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1998년 학생은 441명이었고, 학전반이 43명이다. 교직원은 35명(남 7, 여 28)이다. 건축면적은 1,948㎡이다. 도서관의 도서는 모두 20,400권이었는데 조선어가 20,000권이었고 중국어가 400권이었다.

2001년에 건평이 7447㎡인 5층짜리 교수청사를 지어 교학설비가 완전히 갖춰진 선진학교로 발돋음하였다. 16개 교실이 있고 각 기능실이 구전하며 완벽한 설비를 갖추고 있다. 2010년 흑룡강성의 조선족 학교에서 유일하게 성급표준화학교로 선발되었으며 학교지리적 위치가 좋아 교육자원이 우월하며 학교운영 특색이 선명하고 성내에서 규모가 가장 훌륭한 민족학교로 부상하여 사회적으로 기대가 크다.

2007년 전교의 학생은 261명, 교직원은 24명이다. 교직원 중 대학본과 학력이 9명, 전문대학 학력이 13명, 고중 학력이 1명이 있었다. 그리고 성급 골간교원이 1명, 시급골간교원이 3명, 구급골간교원 2명이 있었다. 학교지도부에서는 교사자질이 높고 단합된 교원대오가 학교발전의 근본동력이라는 인식을 강화하고 사덕건설과 실무자질제고를 교원대오건설의 중심으로 삼았다. 예를 들어, 교원의 진실한 감정, 연박한 학문, 소박한 인품, 엄격한 교수를 교원대오건설의 노력방향으로 삼았다. 새로운 과정개혁에 있어 교원들의 이론연구와 실천능력향상이 받침되어야 하는 상황에서 교원들의 실무자질 제고를 위해 교내 공개수업, 교수 교류, 반성교수, 평가교수 등 교수연구활동을 활발히 전개하였다. 동시에 하얼빈시와 흑룡강성 민족교연부 교육연구원과 형제 학교의 특급교원 등 전문가들을 초청하여 이론지도를 받았다. 또 시급, 성급 교수현장회의와 교재양성회의를 여러 차례 주최함으로써 교원들의 전공수준 발전과 학교의 교수연구 분위기 형성에 큰 도움이 되게 하였다.

본교에서는 조선족 학교로서의 민족 특색을 살린 교본 과정 개발을 추진하여 학생들의 전면 발전을 이끌었다. 민족 예의를 필수과목으로 설치하였고 민족문화, 민족무용, 흥취수학, 축구, 배구, 조선어문 글짓기, 영어 캠프 등 교본과정을 개발해 대부분 학생들의 적극성에 맞게 장기와 능력을 키워주었다.

2006년 5월 13일 흑룡강 조선어방송국의 지도하에 한국유타이회사의 후원으로 흑룡강조선어린이 방송합창단을 이 학교에 만들었다. 한인[조선족]의 이름난 음악가들이 전문 합창 훈련을 지도하도록 하였다. 또한 태권도과목을 개설하여 한국 실로암태권도 교련을 초청하여 매주 한 시간씩 체육시간을 이용하여 긱 학급 전체 학생들에게 태권도를 전수하도록 하였다.

본교의 소선대 대대부에서는 학생들을 조직하여 《넷타이방송》과 《넥타이신문》을 꾸리고 있었다. 넥타이방송은 매주 금요일 12시 30분 점심휴식시간을 이용하여 방송을 하였다. 주요내용은 학교신문, 국제국내신문, 학생들의 우수한 작품 등이었다. 모든 원고는 선생님의 지도하에 학생들이 자체로 편집하고 자체로 방송하였다. 넷타이신문은 모두 학생자신들의 작품을 신문형식으로 인쇄하여 반월간으로 학생들에게 발급하였다. 이런 활동들은 학생들의 글짓기능력과 언어표현능력을 양성하며 학생들의 실천능력, 사유능력과 조직능력의 제고를 가져오게 되었다.

본교는 전반 사업에서 성적이 우수하여 동력구의 문명단위 기준병 하얼빈시교육국의 덕육사업선진집체, 전국조선족문예경연선진집체, 하얼빈시 민족단결진보 모법단위 등 수많은 영예를 받았다. 또한 이 학교에서 하얼빈시조선족외국어년회, 하얼빈시조선족소학교 교육연구회 현장회의를 주관하였고 하얼빈시조선족제1중학교와 연합으로 전국조선어새교재양성회의, 흑룡강성 한어문교재양성회의를 주체하였다.

2008년 당시 교장은 이만수였고, 학생 수는 253명이었다. 교원은 27명이었다.

현황

2014년 학생 수는 194명이다. 이중 한족이 10명이며 기타 민족도 3명이 있다. 교원 수는 33명이다. 이중 한인[조선족] 교원은 30명이고 한족 교원은 3명이 있다. 특히 조선어 교원이 8명이나 있다.

2014년 당시 학교에서는 학과 양성반 훈련을 강화하고 학과년회를 활발히 전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조선어문학과연구회, 수학학과연구회, 문과년회(음악, 미술, 사상품성), 리과년회(계산기, 체육, 과학)를 조직하였다.

학생들의 취미와 장기에 따라 민족특색이 다분한 교본과정을 개발해 민족무용, 전통놀이, 풍물놀이, 태권도, 합창단 등 민족특색을 살린 활동들을 활발히 전개하여 민족성을 되살려주었고 학생들의 단결정신과 협력정신을 키워주고 있다.

학교에서는 교원대오의 자질제고가 급선무이고 교원들의 교수이념을 갱신시키고자 교원들에게 학습할 기회를 많이 마련해주고 있다.

본교에서는 또한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다. 2011년 유치원을 만들어 민족특색의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학교에서는 구에서의 각종 활동에 참가하고 조직하여 좋은 평가를 받고 있으며, 현대화된 교학설비를 갖추고 있다. 학교의 교수자원이 우월하고 운영특색이 선명하며 조선민족유치원 교육계의 모범이 되고 있다. 2014년 현재 학생 수는 모두 20명이다. 한족은 아직 없다. 교원 수는 6명이다. 이중 한인[조선족] 교원이 3명이고 한족교원이 3명이다. 학교에서는 평소 각종 재미있는 조선민속특색 활동을 조직하면서 어린이들이 우리민족의 전통적인 놀이, 복장, 음식에 관한 수업을 통하여 민족의 전통적인 지식을 배우도록 하고 있다. 유치원에서는 하얼빈시에서 개최되는 여러 활동도 참가하여 항상 선생님들이 교수에 관한 장점을 적극적으로 흡수하면서 자기 특색과 결합할 수 있게 실천하고 있다.

참고문헌
  • 동북조선민족교육과학연구소, 『중국조선족학교지』(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1998년)
  • 서명훈, 『할빈시조선민족백년사화』(북경, 민족출판사, 2007년)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