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양시 소가둔구 조선족 전통 설창 예술[심양시]

한자 沈陽市 蘇家屯區 朝鮮族 傳統 說唱 藝術[瀋陽市]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요령성 심양시 소가둔구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전승자 신옥화
전승지역 중국 요령성 심양시
정의

요령성 심양시 소가둔구 지역에서 보이는 전통 예술 장르의 하나.

개설

조선족 설창 예술은 판소리와 비슷하며 오랜 역사를 지닌다. 설창자는 일인다역을 맡아 창을 위주로 하며 하나의 장편 이야기를 기술하는데, 장고의 반주에 맞춰 무용 동작을 곁들이며 부르는 방식을 취한다.

설창 예술의 구성

조선족 설창 예술은 조선족 음악의 중요한 구성 부분으로서 동북 3성 한인[조선족] 집단 거주 지역에서 유행하고 있다. 대표적 작품으로는 12가지가 있으며 내용은 모두 민간 전설과 고전 소설에 기초한다. 설창 예술에서 ‘설(說)’ 부분은 ‘서창(叙唱)’이라고 하는데, 고정적 리듬이 없이 자유로이 변화를 줄 수 있다. ‘창(唱)’ 부분은 리듬감이 강하며 민가 곡조 위주로 명쾌하고 유창하다. 하나의 곡목은 대개 단가 형식, 즉 서정적 노래로 시작한다.

설창 예술은 동일한 시기에 만들어진 작품이라 해도 각기 다른 예술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향후 조선족 설창 예술 작품에 대한 심도 있는 발굴과 정리 작업이 요청되며, 이는 조선족 음악 및 민속 연구에서 그 의의와 가치가 적지 않다고 할 것이다.

설창 예술의 특성

조선족 설창 예술은 민간에서 탄생하여 전해 내려 온 독특한 예술 형식으로써 아름다운 곡조와 설창이 결합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설창 예술은 동시에 풍부한 예술적 호소력과 표현력을 지니고 있다. 이는 한인[조선족] 민중의 생활에 대한 애환을 표현하였고, 민족의 역사와 문화를 전승하는 중요한 매개체이기도 하다. 조선족 설창 예술은 전통 예술로써 발성 방식이나 표현 기교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현대 음악의 강세에 밀려 전승자가 손에 꼽힐 정도이다. 향후 조선족 설창 예술에 대한 보호와 전승을 통해 민족 단결을 증진하고 민족 문화의 명맥이 유지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崔文植, 『조선 민족 역사 문화 연구 총서』 4,8,9 (요령민족출판사, 2006)
  • 柳世錦 編, 『中國 文化 遺産 産業 發展 報告』(社會 科學 文獻 出版社, 2008)
  • 黄有福, 『走进 中国 少数 民族 丛书-朝鲜族』(辽宁 民族 出版社, 20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