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성빛 늪」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지명 전설
주요등장인물 백발노인|젊은이||
모티프유형 어느 젊은이의 선행|압록강 물신·두만강 물신의 칠성 보물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0년 7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혼춘시(琿春市)에서 ‘칠성빛 늪’과 관련해서 전해지는 설화.

개설

「칠성빛 늪」은 ‘칠성빛 늪’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경박호의 물신과 두만강의 물신이 어느 젊은이의 선행을 시험하고, 칠성빛이 나는 보물을 건넨다.

채록/수집 상황

1990년 7월에 한정춘이 혼춘시 경신진(敬信鎭)에 거주하고 있는 한족 왕덕으로부터 채록했다. 채록자 한정춘은 1953년 길림성 혼춘시에서 출생한 문학가로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과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칠성빛 늪」 설화는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혼춘하 유역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두만강혼춘하가 이어져 있는 곳에 밤이면 빛을 내는 신비로운 늪이 있었다. 사람들은 이 늪을 ‘칠성빛 늪’으로 불렀다. 지금은 그 이름만 전해지고 있다. 먼 옛날, 이 늪에서 금이 가끔 났는데, 금은 낮에는 보이지 않고 밤에만 반짝였다. 그래서 사람들은 밤마다 나무에 횃불을 밝혀 놓고 금을 캐곤 했다.

그러던 어느 해, 백마를 탄 젊은이가 이곳에 찾아왔다. 단정한 외모에 가죽옷을 입은 젊은이는 활과 화살을 넣은 가죽으로 된 갑을 메었는데 이 갑 속에서 빛이 뿜어져 나오고 있었다. 마을 사람들이 빛을 이상히 여기자, 젊은이는 가죽으로 된 갑 속에서 칠성빛을 뿜는 보석을 꺼냈다. 마을 사람들은 그것이 있으면 비바람이 치는 밤에도 금을 캘 수 있다며 그것을 주기 바랐다. 젊은이는 그것을 모두 마을 사람들에게 주며 보물의 유래를 알려 주었다. 유래인즉슨, 젊은이가 백마를 타고 경박호까지 달려갔는데, 홀연 백발노인이 자결하려고 호구에 뛰어들기에 황급히 백발노인을 구했다. 백발노인은 젊은이에게 장차 나라의 큰 기둥이 될 것을 예언하며 젊은이의 손에다 곡식 종자 일곱 알을 주고 홀연 사라졌다. 노인은 바로 경박호의 물신이었다.

젊은이가 가죽으로 된 갑 속에 종자를 넣자 종자는 빛을 내뿜었다. 그런 것을 마을 사람들이 요구하자 젊은이는 선뜻 건넨 것이었다. 그런데 며칠 후 예전의 보물 장사가 나타나 마을 사람들에게 그 칠성빛을 뿜는 보석을 이미 자기가 산 물건이므로 내놓으라고 마을 사람들에게 행패를 부렸다. 이때 젊은이가 나타나 장사꾼을 호되게 나무랐다. 그러자 보물 장사는 자신의 진짜 모습을 드러내며, 젊은이에게 차후 왕이 될 것이라고 했다. 보물 장사는 두만강 물신이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 보물이 자취를 감추었고, 마을 사람들은 보물을 찾기 위해 젊은이가 딛고 섰던 땅을 파기 시작했다. 그렇게 이레 동안 땅을 파니 깊숙한 늪이 생겼고, 밑바닥에서 칠성빛이 나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이 늪을 ‘칠성빛 늪’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칠성빛 늪」의 모티브는 ‘어느 젊은이의 선행’과 ‘압록강 물신, 두만강 물신의 칠성 보물’이다. 압록강의 물신과 두만강의 물신이 칠성빛을 뿜는 보석으로 차후 왕이 될 인물을 시험에 들게 한다. 젊은이는 마을 사람들을 위해 기꺼이 칠성빛을 뿜는 보석을 건넨다. 사람들은 젊은이의 선행을 기리기 위해 관련한 늪에 새로운 이름을 붙여 부른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 문학 대계』(한국학 중앙 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한정춘, 『혼춘하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