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藏王 洞窟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지명 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대흠무 왕 |
| 모티프유형 | 승냥이 떼의 습격과 동굴로 피신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4년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혼춘시(琿春市)에서 ‘장왕 동굴’과 관련해서 전해지는 지명 설화.
혼춘하 상류의 중국, 러시아 접경 지대에 한 동굴이 있다. 이를 흔히 ‘장왕 동굴’이라고 한다. 발해 3대 왕인 대흠무는 늘 사냥을 즐겼다. 어느 날,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대흠무는 몇몇 대신들을 데리고 사냥을 나갔다.
그런데 그날은 승냥이 떼가 무리를 지어 대흠무 일행을 포위했다. 급박한 상황에서 한 신하가 작은 동굴을 발견하고 대흠무를 모시고 들어갔다. 동굴 안에는 한 쌍의 구렁이가 똬리를 틀고 있다가 대흠무를 보고 급히 몸을 숨겼다. 이에 무사히 대흠무를 모실 수 있었다.
이러한 일로 동굴 안에 ‘왕을 숨긴 동굴’이라는 뜻에서 ‘장왕동(藏王洞)’이라고 새겨 놓았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이 동굴을 ‘장왕 동굴’이라고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