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백산시 무송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지명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어부|도적 |
| 모티프유형 | 도적 무리의 약탈과 자라의 도적 소탕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9년 8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백산시 무송현을 흐르는 송화강 유역의 만강 하류 |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무송현(撫松縣)에서 자라섬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지명 설화.
송화강으로 흐르는 만강 하류에 ‘오지섬’이란 작은 섬이 있었고, 어부들은 물고기잡이를 나갔다 돌아올 때마다 섬에서 샘물을 마시며 휴식을 취하곤 했다. 섬은 크기가 너무 작아서인지 아직 이름이 없었다.
어느 날 어부들이 섬에 들러 천렵하다가 섬에 이름을 짓자고 하고 여러 이름을 생각하고 있었다. 학식이 있는 좌상 어른이 ‘자라섬’으로 짓자고 제의하면서 섬에 관한 이야기를 해주었다. 좌상 어른은 과거 마을을 약탈하던 도적 무리가 섬을 은신처로 삼았으나, 관가에선 도적들을 잡아들이지 못했다고 하였다. 어느 날 마을의 몇몇 어부가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풍랑을 피해 섬에 내렸다. 그런데 섬에는 사람들의 사체가 널려 있고 그 옆에 숱한 자라들이 죽어 있었다. 분명 도적놈들과 자라 무리가 큰 싸움을 한 것이라고 보았다. 그 후 좌상 어른의 말을 따라 섬을 ‘자라섬’이라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