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백산시 무송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지명 설화
주요등장인물 어부|도적
모티프유형 도적 무리의 약탈과 자라의 도적 소탕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9년 8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백산시 무송현을 흐르는 송화강 유역의 만강 하류
정의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무송현(撫松縣)에서 자라섬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지명 설화.

개설

「자라섬」은 송화강 유역의 만강 하류에 있는 섬의 이름에서 유래한 지명 설화이다. 이 섬은 어부들이 어업을 하고 돌아올 때 샘물을 마시며 쉴 수 있는 작은 섬이었는데, 이름이 없어 어부들이 지어주기로 했다.

섬 이름에 대해 고민하던 중 학식이 있는 좌상 어른이 예전 도적 무리가 마을을 약탈할 때 이 섬을 거점으로 삼았고, 섬에 살던 자라들과 생사를 건 싸움을 해서 도적들과 자라들이 죽었던 일이 있었다고 하였다. 그래서 섬 이름을 ‘자라섬’이라고 부르자고 말했고, 그때부터 섬의 이름이 ‘자라섬’이 되었다.

채록/수집 상황

1989년 8월에 한정춘이 무송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조선족] 정일호로부터 채록했다. 채록자 한정춘은 1953년 길림성 혼춘시에서 출생한 문학가로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과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을 수상하기도 했다. 「자라섬」 지명 설화는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송화강 유역 전설집』에 수록되어 있다.

내용

송화강으로 흐르는 만강 하류에 ‘오지섬’이란 작은 섬이 있었고, 어부들은 물고기잡이를 나갔다 돌아올 때마다 섬에서 샘물을 마시며 휴식을 취하곤 했다. 섬은 크기가 너무 작아서인지 아직 이름이 없었다.

어느 날 어부들이 섬에 들러 천렵하다가 섬에 이름을 짓자고 하고 여러 이름을 생각하고 있었다. 학식이 있는 좌상 어른이 ‘자라섬’으로 짓자고 제의하면서 섬에 관한 이야기를 해주었다. 좌상 어른은 과거 마을을 약탈하던 도적 무리가 섬을 은신처로 삼았으나, 관가에선 도적들을 잡아들이지 못했다고 하였다. 어느 날 마을의 몇몇 어부가 고기잡이를 나갔다가 풍랑을 피해 섬에 내렸다. 그런데 섬에는 사람들의 사체가 널려 있고 그 옆에 숱한 자라들이 죽어 있었다. 분명 도적놈들과 자라 무리가 큰 싸움을 한 것이라고 보았다. 그 후 좌상 어른의 말을 따라 섬을 ‘자라섬’이라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자라섬」의 모티브는 ‘도적 무리의 약탈과 자라의 도적 소탕’이다. 두만강, 압록강, 송화강 유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조선족 설화 중에서 특기할 만한 것은 자라, 잉어, 게 등이 ‘물신[수신]’으로 등장하여 어떠한 이유 없이 인간을 위해 자신의 몸을 희생한다는 것이다. 이 설화에서는 자라가 제 몸을 바쳐 도적 무리를 소탕하고 있다. 강에 의지해 삶을 영위했던 한인들의 상상력이 바탕이 되어 형성, 전승되고 있는 설화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정춘, 『송화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국립 민속 박물관, 201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