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湯河 由來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백산시 무송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도적 두목 오랑이|설익 장군 |
| 모티프유형 | 동굴 속에서 솟아난 뜨거운 물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2년 5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백산시 무송현 |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무송현(撫松縣)에서 탕하(湯河) 관련하여 전해지는 설화.
1982년 5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백산시 무송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조선족] 강철억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송화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송화강으로 흐르는 탕하에는 그 이름에 관한 유래가 전하고 있다. 옛날 오랑이란 두목이 있는 도적 무리가 백두산 밀림에 살면서 수없이 민가를 약탈해 관청이 나서 소탕하려 했으나 신출귀몰해 잡을 수 없었다. 그 후로도 약탈 계속되자 구척의 설익 장군이 군졸들을 이끌고 도적 무리를 잡기 위해 수림 속을 수색했다.
설익은 어려서부터 뛰어나고 용맹스러웠으며 백두산 밀림을 누비며 다녀 지형지물을 누구보다 잘 알았다. 설익 장군은 날랜 수하들과 함께 도적 소굴을 공격하여 일당들의 대부분 죽였으나, 두목인 오랑이란 놈이 수하 한두 놈을 거느리고 도망쳤다. 설익 장군은 주변을 수색하게 하여 오랑이가 있을 곳을 찾고 있는데, 갑자기 바위돌이 무수히 날아와 설익과 군사들의 목숨을 위협했다. 설익은 오랑이가 숨어 돌을 던지는 것이라 생각해 마른 나무를 구해 바위돌이 날아온 주변을 불태웠다. 그러나 오랑이는 굴속에 피신해 목숨을 부지하고 나와 자신은 아직 죽지 않았다고 외쳤다. 설익과 군사들이 굴 근처로 가자 오랑이가 굴속에서 암전을 쏘며 발악하여 잡기가 어려웠다. 그러자 설익은 군사들에게 그 굴을 바위로 막으라고 명했다. 설익의 명을 듣고 오랑이는 적은 수의 군사들로는 자신이 숨어 있는 깊은 협곡을 메울 수 없다며 비웃었다.
굴을 바위로 막을 수가 없자 설익이 굴속으로 오랑이를 죽이러 들어갔다. 설익의 최후의 절초인 검을 뽑아 던지기를 시전하자 검이 굴 속으로 날아가 '쾅'하는 소리와 함께 검은 연기가 솟구쳤다. 검은 연기가 사라져서 보니 굴이 있던 곳에서 뜨거운 물이 솟구쳐 나왔는데 그제야 오랑이가 죽었다고 생각한 설익은 군졸들을 물려 자리를 떴다. 후에 사람들이 이 뜨거운 샘물을 두고 탕하라고 불렀다고 한다.
「탕하 유래」의 모티브는 ‘동굴 속에서 솟아난 뜨거운 물’이다. 조선족 설화는 특히 1960년대에 중화인민공화국의 이념을 뒷받침하는 하나의 재료로 치부되었다. 그래서 채록 및 정리 결과 선인과 악인의 대결에서 선인이 승리하는 과정이 매우 뚜렷하다. 이 설화에서도 탕하의 지명 유래를 선인과 악인의 대결에서 선인이 승리하는 과정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또한 마을에 재난이 닥치고 뛰어난 인물이 이를 해결하는 영웅적 성격을 띠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