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성지」

한자 七星池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백산시 무송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금돌이|영쇠
모티프유형 일곱 개 샘물의 금빛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7년 6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백산시 무송현 이도백하 아래
정의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무송현(撫松縣)에서 이도백하(二道白河)에 있는 칠성지(七星池)과 관련하여 전해지는 설화.

개설

「칠성지」는 이도백하 아래에 위치한 늪인 칠성지의 지명 설화이다.

이곳 사람들은 사냥이나 약초 채집 이외 채금을 하였는데, 마을에 사는 금돌이와 영쇠가 채금을 하러 백두산으로 들어갔다. 그러나 금을 찾지 못하자 금돌이는 다른 곳을 찾아보러 가고 영쇠는 물을 찾으러 갔다. 영쇠가 물을 찾다가 바위에서 보석을 발견하고 혼자 차지할 욕심에 보석 7개 전부를 파냈다. 보석을 파낸 구멍에서 샘이 터져 샘물에 맞고 정신을 잃은 사이 보석을 모두 잃어버렸다. 일곱 구멍에서 나온 샘물이 늪을 이루었고 밤에 일곱 개의 빛이 솟아난다고 하여 이곳을 칠성지 혹은 칠성호(七星湖)라 부르게 되었다.

채록/수집 상황

1987년 6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무송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조선족] 김동권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송화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이도백하 물길 아래 동쪽에 맑고 작은 늪이 있는데 여기에 채금꾼과 관련된 이야기가 전하고 있다. 사람들은 백두산으로 사냥하러 가거나 약초 캐는 일 외에 금을 캐는 일이 많았다. 마을에 사는 금돌이와 영쇠가 금을 캐고자 산속에 들어갔다.

채금꾼들의 규례에 따라 산신제를 지내려는데 폭우가 쏟아져 제물상을 놓을 수 없게 되자, 금돌이는 산신님께서 산에서 내려가라고 쫓는 모양이라며 중얼거렸다. 영쇠가 산신이 쫓는다고 내려가야 하냐며 반박하자 금돌이가 함부로 말하면 안 된다고 영쇠를 다그쳤다. 영쇠는 간단하게 제사를 지내고 산속에 가자고 했고 금돌이도 더는 말리지 못하고, 산속을 다니며 금이 묻힌 곳을 찾으러 다녔다. 며칠간 금을 찾아 돌아다녔으나 금을 찾을 수 없자 영쇠는 산을 떠나자 했고 금돌이는 며칠간이라도 더 찾아보자고 했다.

두 사람은 이레 동안 금을 찾아 돌아다녔지만 결국 허탕을 치자, 금돌이는 다른 쪽을 찾아보겠다며 길을 나섰고 영쇠는 갈증이 나서 물을 찾아 나섰다. 영쇠가 샘을 찾다가 우연히 돌바위에서 빛나는 물체를 보았고, 이것이 보물임을 확인하자 혼자 차지할 욕심에 금돌이가 오기 전에 몰래 여섯 개의 보석을 파냈다. 사람의 욕심이 끝이 없는지라 더 없나 살펴보던 중 반짝거리는 것이 그의 눈에 띄어 그 보석을 파냈는데 갑자기 보석 곁에서 ‘꽈르릉!’ 요란한 소리가 났다. 영쇠는 영문도 모르고 두 마장쯤 날아가 정신을 잃었다. 겨우 정신을 차리고 보니 자신은 난데없는 늪물에 빠져 있었고, 보석을 싼 보자기는 어디로 갔는지 찾을 수가 없었다.

영쇠가 살펴보니 보석을 뽑아낸 구멍에서 샘물이 솟아 일곱 개의 샘물이 깊숙한 늪을 이루고 있었다. 영쇠는 ‘마지막 보석을 파내지 않았으면 부자가 되었을 텐데 헛욕심을 너무 부렸구나!’라며 한탄하였다. 민간에선 밤이면 이 늪에서 일곱 개의 빛이 솟아난다 하여 이 늪을 칠성지 혹은 칠성호라 부르고 있다.

모티프 분석

「칠성지」의 모티브는 ‘일곱 개 샘물의 금빛’이다. 중국 동북 3성의 조선족 설화를 살펴보면, 100여 년 전을 전후해서 금덩이를 발견했다거나 사금을 캤다거나 하는 등 황금과 관련한 것들을 종종 발견된다. 실제로도 19세기 말, 청 정부는 동북 3성에 외국의 기술력을 도입하여 황금 캐는 일에 주력했다. 이 설화에서는 이러한 역사적 사실과 일곱 개의 늪이 여느 늪에 비해 빛난다는 사실을 결부시켜 그 늪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고, 재물에 대한 욕심을 경계해야 한다는 점을 드러내고 있다.

참고문헌
  • 한정춘, 『송화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