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天池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용왕|삼 형제 |
| 모티프유형 | 용왕의 삼 형제가 백두산의 괴물을 퇴치하는 것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93년 7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
| 채록지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혼춘시(琿春市)에서 백두산 천지와 관련하여 전해지는 설화.
옛날 옛적, 용왕은 삼 형제를 낳았는데 모두 효성이 지극했을 뿐만 아니라 능력도 출중했다. 첫째는 천하장사인데다가 대담했고, 둘째는 무예가 출중했고, 셋째는 지략이 뛰어났다. 용왕은 나이가 듦에 삼 형제 중 누구에게 왕위를 계승해야 할 것인지 고민했다. 그러던 중 ‘불함산(백두산)의 괴물이 불과 연기를 뿜고 도처에 재를 날려 인근에 사람은 물론 짐승조차 살기 어렵다는 것’을 알고, 삼 형제를 불러 그 괴물을 물리치는 자에게 왕위를 계승하겠노라고 선언했다.
용왕의 선언에 삼 형제는 득달같이 불함산(백두산)으로 향했다. 그곳에서 머리가 셋이요, 뿔이 여섯이요, 팔과 다리가 여섯인 괴물과 맞닥뜨렸다. 삼 형제는 왕위 계승은 제쳐두고 힘을 합해 칼을 휘둘렀다. 괴물은 처음 몇 합까지는 대등하게 싸웠으나, 점차 힘이 빠져 산봉우리의 굴속으로 도망쳤다. 삼 형제는 굴속으로 쫓아가 괴물을 찾으려 했으나, 한 치 앞도 내다볼 수 없어 헤맬 수밖에 없었다. 그때 지축을 흔드는 우렛소리가 나더니, 산봉우리 전체가 괴물과 함께 연기 속으로 자취를 감추었고, 그 자리에 움푹 커다란 연못이 생겨났다. 용왕은 삼 형제의 협심과 의기를 기특히 여겼고, 왕위 계승을 다음으로 미루었다. 이후 사람들이 다시 모여 살면서 그 연못을 ‘천지(天池)’라고 일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