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海棠花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마적달향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해라|덕이|당화|만복 부자 |
| 모티프유형 | 죽어서 꽃이 된 해라와 당하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93년 10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마적달향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혼춘시(琿春市) 마적달향(馬滴達鄕)에서 ‘해당화’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설화.
「해당화」는 6~7월 두만강 하류 혼춘시경신향(敬信鄕) 백사장에 피는 해당화의 유래를 설명하는 꽃과 관련한 설화다.
할머니를 모시고 사는 ‘해라’가 살고 있었다. 해라가 열다섯 살이 되었을 때, 만복 부자의 아들 ‘덕이’가 희롱하는 것을 ‘당하’가 막아 주었다. 그 일이 있고 나서 덕이는 앓아누웠고, 무당 할멈은 민며느리를 들이라고 하였다. 만복 부자는 빚 대신 해라를 민며느리로 데리고 갔다. 다른 마을에 몸을 숨겼던 당하가 마을로 돌아와서 해라와 함께 두만강 가로 도망쳤다.
해라와 당하는 벼랑에서 뛰어내렸고, 마을 사람들은 두만강 하류에서 그들의 시체를 찾아 백사장에 묻어 주었다. 무덤 앞에 꽃이 피었는데 해라의 ‘해’자와 당하의 ‘당’자를 합쳐서 ‘해당화’라 불렀다.
1993년 10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혼춘시 마적달향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박영진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두만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두만강 상류 연화동에 할머니를 모시고 사는 ‘해라’가 살고 있었다. 해라는 할머니에 대한 효성이 지극했다. 해라의 부모는 두만강에서 물고기를 잡다가 파도에 밀려 저세상으로 갔다.
세월이 흘러 해라가 열다섯 살이 되었다. 건넛마을에 삯일하러 갔다 오다가 만복 부자의 아들 ‘덕이’가 몇몇 아이들을 이끌고 해라를 희롱하였다. 그때 만복 부자네 댁으로 머슴 살러 온 ‘당하’가 나타나 덕이를 주먹으로 때렸다.
그 일이 있고 나서, 덕이는 앓아누웠다. 무당 할멈은 "덕이의 병은 악귀가 붙어서 생긴 것인데, 악귀를 쫓아버리려면 민며느리를 봐야한다."라고 하였다. 만복 부자는 해라 할머니를 찾아가 빚 대신 손녀를 민며느리로 데리고 가겠다고 하였다.
해라가 억지로 끌려간 뒤 할머니는 저세상으로 갔다. 다른 마을에 몸을 숨겼던 당하는 해라가 민며느리로 갔다는 소식을 듣고, 해라를 구하기 위해 마을로 돌아왔다.
행랑 할멈의 도움으로 해라와 함께 두만강 가로 도망쳤다. 만복 부자네 사람들도 이 둘을 잡으러 쫓아왔다. 해라와 당하는 벼랑에서 뛰어내렸고, 마을 사람들은 두만강 하류에서 그들의 시체를 찾아 백사장에 묻어 주었다. 무덤 앞에 꽃이 피었는데, 해라의 ‘해’자와 당하의 ‘당’자를 합쳐서 ‘해당화’라 불렀다.
「해당화」의 주요 모티프는 ‘죽어서 꽃이 된 해라와 당하’이다. 우리나라에서 전승하는 꽃과 관련한 설화의 주인공은 남자보다 여자가 훨씬 많다. 또한 대부분의 꽃 설화의 수사법은 ‘꽃=여성’이라는 은유적 원리와 관련되어 있고 의인화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해당화」에서는 두 남녀의 비극적 이야기를 해당화라는 꽃을 통해 부활시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