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성산」

한자 連城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경신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관영|금와태자|홍라녀|녹라녀
모티프유형 조카의 아내를 탐한 관영|금와태자의 원한을 갚은 홍라녀와 녹라녀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0년 7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경신진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혼춘시(琿春市) 경신진(敬信鎭)에서 ‘연성산(連城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설화.

개설

「연성산」은 두만강 하류에 소재한 연성산의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지명 전설(地名傳說)이며, 산성 축성(築城)과 관련한 축성 전설(築城傳說)이다. 소성 마을에 ‘관영’이 살고 있었다. 관영은 외조카 금와 태자의 아내 ‘홍라녀’를 탐해 금와 태자를 죽이고 홍라녀를 첩으로 삼으려 하였다.

홍라녀는 동경성(東京城)에 있는 여동생 ‘녹라녀’에게 서신을 보냈고, 녹라녀는 인마를 이끌고 와 관영과의 싸움에서 이긴다. 관영은 두만강 하류에서 녹라녀를 막기 위해 성을 쌓았는데 그 성을 ‘연성산’으로 부른다.

채록/수집 상황

1990년 7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훈춘시 경신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왕덕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두만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두만강에 인접해 있는 소성 마을에 이름이 ‘관영’인 소창왕이 살았다. 관영은 호색한으로 소문이 나 있었다. 어느 날, 동경성에 사는 외조카 금와 태자가 아내를 맞이했다고 인사를 왔다. 그런데 관영이 금와 태자의 아내를 취하기 위해 사람을 시켜 술에 취한 금와태자를 죽였다.

그러고는 금와 태자의 아내인 ‘홍라녀’를 가두어 둔 방으로 가 자신의 첩이 되어달라고 하였다. 홍라녀는 관영의 요구를 거절하였다. 홍라녀는 동경성에 있는 여동생 녹라녀에게 서신을 보내 이 사실을 알렸다.

녹라녀도 홍라녀와 함께 금와 태자의 아내가 되었다. 녹라녀는 모든 사실을 알고 인마를 이끌고 와 관영과 치열한 싸움을 해서 이겼다. 도망친 관영은 두만강 하류에 머물러 산성을 쌓고 녹라녀가 뒤쫓아 오는 것을 막으려고 하였는데, 이 성을 ‘연성산’이라고 부른다.

모티프 분석

「연성산」의 주요 모티프는 ‘조카의 아내를 탐한 관영’, ‘금와 태자의 원한을 갚은 홍라녀와 녹라녀’ 등이다. 설화의 시대적 배경은 발해 시기인데, 축성과 관련해서는 관영이 녹라녀를 막기 위해 산성을 쌓았다는 것만 전하고 외조카의 아내를 탐한 관영의 반인륜적인 행동을 부각하였다.

참고문헌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한정춘, 『두만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