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回龍峰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경신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동해 용왕|소년 |
| 모티프유형 | 동해 용왕을 피해 숨은 소년|동해 용왕이 만든 두만강 줄기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경신진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혼춘시(琿春市) 경신진(敬信鎭)에서 ‘회룡봉(回龍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설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두만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두만강 가 북쪽 기슭에 부모를 여의고 사는 소년이 있었다. 소년은 옥피리를 자주 불었는데, 어느 날 동해 용왕이 옥피리 소리를 듣게 되었다. 용궁에서는 남해 용왕이 놀러 온다고 해서 연회가 열렸는데 피리 소리가 좋지 않았다. 그래서 두만강 북쪽 기슭에 사는 그 소년을 데려오기로 하였다.
소년이 거절하자 동해 용왕이 옥피리를 빼앗으려고 하였다. 이를 안 까치가 소년에게 미리 알려주었다. 이어서 꽃사슴의 등을 타고 산속으로 들어가 숨었다. 잠시 뒤 산속에서 옥피리 소리가 들려왔다.
동해 용왕이 소리를 따라서 온 산을 뒤졌지만 찾을 수 없었다. 화가 난 동해 용왕은 광풍을 몰아 비를 퍼붓게 하였고, 동해 용왕이 맴돌던 모양으로 물곬이 생겨 두만강이 흐르게 되었는데 그 산봉우리와 마을을 ‘회룡봉’이라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