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두산」

한자 龍頭山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훈춘시 반석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흑룡|청룡
모티프유형 청룡과 흑룡의 싸움|청룡의 머리가 변한 용두산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7년 6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혼춘시 반석향
정의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혼춘시(琿春市) 반석향(磐石鄕)에서 ‘용두산(龍頭山)’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설화.

개설

용두산은 두만강 중류 도로 마을에 있는 용두산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유래담이다. 마을이 아름다워 동해 용왕의 아들 청룡이 보러 오고, 잠시 뒤 서해 바다에 사는 흑룡도 도로 마을을 찾는다.

두 용은 만나서 싸우기 시작하였는데 흑룡은 청룡의 검에 맞아 두만강 물에 떨어져 죽고, 청룡도 싸움에 지쳐 하늘에서 떨어져 땅속에 깊이 박혔다. 사람들은 청룡의 머리가 변하여 산이 되었다고 ‘용두산’이라 불렀다.

채록/수집 상황

1987년 6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혼춘시 반석향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정순옥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두만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도로 마을이 아름답다는 소문을 듣고, 동해 용왕의 아들 청룡이 몰래 용궁을 빠져나왔다. 두만강 위에는 어선이 떠 있고, 벌판에서는 농부들이 풍년가를 부르며 농사를 짓고 있었다.

청룡은 아름다운 경치를 바라보다가 두만강 가 모래톱에 누워 잠들었다. 한참 잠을 자고 있다가 큰 소리에 놀라 깬 청룡은 흑룡이 다가오는 것을 보았다. 서해에 사는 흑룡도 마을의 아름다움을 소문으로 듣고 오는 길이었다.

두 용은 만나서 싸우기 시작하였는데 며칠 동안 계속되었다. 청룡과 흑룡이 싸우는 동안 하늘이 새까맣게 흐려지고, 바람이 불어 두만강 물이 범람하였다. 마을 사람들은 갑작스러운 재난에 두만강 가에 찾아와 동해 용왕에게 제사를 지내었다.

흑룡은 청룡의 검에 맞아 두만강 물에 떨어져 죽었고, 청룡도 싸움에 지쳐 하늘에서 떨어져 땅속에 깊이 박혔다. 청룡은 땅으로 떨어지면서도 마을의 아름다움을 보기 위해 머리를 꼿꼿하게 세우고 떨어졌다. 사람들은 용의 머리가 변하여 산이 되었다고 ‘용두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용두산의 주요 모티프는 ‘청룡과 흑룡의 싸움’, ‘청룡의 머리가 변한 용두산’ 등이다. 용 싸움과 관련한 설화는 전국적으로 못이나 소가 있는 곳에서 흔히 들을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흑룡은 악한 용으로, 청룡은 선한 용으로 그려진다.

용두산에서는 용 싸움의 원인이 명확하게 나타나 있지 않고, 마을이 아름답다는 데 주목하고 있다. 용두산의 형성도 마을의 아름다움과 연계된다.

참고문헌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한정춘, 『두만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