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佛光을 본 金宗瑞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용정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김종서 |
| 모티프유형 | 빛으로 길을 찾은 회령군수|천불이 내리는 천불지산|천불지산을 본 김종서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4년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길림성(吉林省) 연변조선족자치주(延邊朝鮮族自治州) 용정시(龍井市)에서 ‘김종서(金宗瑞)’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설화.
「불광을 본 김종서」는 두만강 상류에 있는 천불지산(千佛指山)의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며, 김종서와 관련한 인물 전설(人物傳說)이다.
김종서가 함길도 관찰사로 두만강 유역을 둘러보러 왔는데, 회령 군수가 보이지 않았다. 회령 군수는 길을 잃고 헤매다가 두만강을 비춘 빛 때문에 마을로 돌아올 수 있었다고 한다. 다음 날 김종서도 천불지산을 보고 감탄하였다.
김종서가 함길도 관찰사로 두만강 유역을 둘러보러 왔다. 다른 고을 부사나 목사들은 다 있었는데, 회령 군수가 보이지 않았다. 회령 군수는 험준한 산을 넘다가 안개 때문에 앞이 보이지 않아 길을 잃었다. 군수 일행이 어느 산꼭대기에 오르니 북쪽 하늘가에 알 수 없는 빛이 비치었다. 그 빛은 한 산봉우리와 두만강을 비추고 있었다. 그래서 두만강을 찾아 마을로 돌아올 수 있었다. 마을로 돌아온 군수는 관찰사 김종서에게 자초지종을 설명하였다.
다음날 군수의 안내로 김종서는 두만강 상류를 돌아보게 되었다. 그리고 떼꾼들이 한 산봉우리를 향해 제사를 지내는 것이 신기해서 그 산봉우리를 바라보았다. 그 산봉우리는 회령 군수가 전날 보았던 하늘에서 빛이 비치는 산봉우리였다. 떼꾼 노인은 인간 세상의 모든 재난을 덜어주기 위해 하늘에서 천불이 내린다고 하여 천불지산이라고 부른다고 하였다. 노인의 말을 들은 김종서 역시 천불지산의 영험함에 감탄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