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駱駝峰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 |
|---|---|
| 주요등장인물 | 동생|함박꽃 처녀 |
| 모티프유형 | 낙타의 목숨을 구해 준 동생과 함박꽃 처녀와 결혼한 동생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6년 7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에서 두만강 상류에 있는 ‘낙타봉’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설화.
두만강이 흐르는 기슭에 조실부모한 두 형제가 살고 있었다. 어느 날 저녁 동생은 호랑이에게 쫓기는 낙타를 보았고, 동생은 호랑이로부터 낙타를 구했다. 그러나 형은 그 낙타를 잡아먹자고 하였다. 어느 날 동생이 밭일을 하고 돌아오는데 낙타가 보이지 않았다. 이곳저곳을 찾아보니 뒷산 골짜기에서 형이 낙타를 목매달아 놓고 잡으려 하고 있었다. 동생은 형의 손에 든 칼을 빼앗았다. 그 일이 있고 나서 동생은 몇 해 동안 낙타를 정성껏 길렀다. 그러던 어느 날 낙타가 함박꽃을 물고 들어왔다. 동생은 그 꽃을 물병에 꽂아두었다. 그다음 날부터 함박꽃은 아름다운 처녀로 바뀌어 집안 살림을 해 주었고, 동생과 혼인하기를 원했다. 낙타는 함박꽃 처녀를 호랑이로부터 구해 준 은인이었다. 동생은 함박꽃 처녀와 결혼하였다. 그러한 소문을 듣게 된 형은 낙타를 위협해 자신의 아내도 구해달라고 하였다. 그러나 낙타는 끝내 말을 듣지 않았고, 결국 낙타의 목을 칼로 쳤다. 그러자 낙타와 형은 바위로 변하였다. 그 후로 낙타가 변한 바위로 된 산봉우리를 ‘낙타봉’이라 부른다.
「락타봉」의 주요 모티프는 ‘낙타의 목숨을 구해 준 동생’과 ‘함박꽃 처녀와 결혼한 동생’ 등이다. 동생은 낙타의 목숨을 구해 주어, 함박꽃 처녀와 결혼한다. 그러나 형제간의 갈등과 평범하지 않은 만남 등으로 인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한편, 「락타봉」에서는 다른 설화 각 편과는 달리 요구하는 금기와 금기의 위반 구조는 보이지 않고, 지명 유래에만 주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