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명골의 세 무덤」

한자 啓明골의 세 무덤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바우돌|천돌|만돌|마 대감
모티프유형 야명주를 찾아 부자가 된 삼 형제|억울한 누명을 쓰고 세상을 떠난 삼 형제|삼 형제의 억울함을 담은 닭 울음 소리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6년 6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화룡시에서 백두산 동쪽 무산에 있는 세 무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설화.

개설

「계명골의 세 무덤」은 백두산 동쪽 무산에 소재한 세 무덤의 유래를 설명하는 인공물 형성 유래담이며, 민요 형성의 유래를 설명하는 설화이기도 하다.

형편이 어려운 삼 형제가 야명주를 발견하여 부자가 된다. 그런데 이를 질투한 욕심 많은 마 대감 때문에 도둑으로 몰리고, 급기야는 누군가 놓은 불 때문에 마을을 떠나 깊은 산골짜기에 살다가 세상을 떠난다. 그 후 삼 형제의 무덤이 있는 골짜기에서는 고약한 부자와 법을 어긴 관가를 험담하는 닭 울음소리가 들리게 되었다.

채록/수집 상황

1986년 06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훈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리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수상 등)이 화룡시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박광혁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두만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창평 마을에 '바우돌이, 천돌이, 만돌이'라 부르는 삼 형제가 살고 있었다. 이들 삼 형제는 '마 대감'이라는 부자에게 진 빚을 갚느라 생활이 어려웠다. 그러면서도 우애는 돈독했다. 마 대감은 한가위까지 모든 빚을 갚으라고 하였고, 삼 형제가 빚을 갚지 않으면 마 대감 집의 일꾼으로 들어가야 했다.

시간이 흘러 한가위가 되었다. 그러나 삼 형제는 빚을 모두 갚지를 못했다. 한가위 아침 삼 형제는 부모님의 묘소를 찾아 제사를 지내며, 마대감 집의 일꾼으로 들어간다고 아뢰었다. 그러고는 남은 일을 하러 밭으로 갔다.

어느 날, 밭일을 끝내고 돌아오는 길에 두만강 쪽에 서 있는 바위에서 야명주(夜明珠)를 찾아 부자가 되었다. 이러한 소문이 온 마을에 퍼지자 마 대감도 야명주를 찾기 위해 삼 형제가 야명주를 찾은 바위로 갔다. 그러나 야명주는 없었고, 화가 난 마 대감은 그 바위를 깨뜨리기까지 하였다. 그리고는 집으로 돌아와 삼 형제가 도둑질을 했다고 관가에 알렸고, 고을의 원은 이들 삼 형제를 잡아들였다. 그러나 삼 형제가 훔쳤다는 단서가 없어서 다시 풀어주었다.

삼 형제가 집으로 돌아왔더니 누군가 불을 놓아 곡식 낟가리를 태워버리기까지 했다. 이들 삼 형제는 마을을 떠나 깊은 산골짜기에 들어가 살다가 일찍이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그런데 그들이 묻힌 골짜기에서 늘 “고약한 부자야 / 덕 쌓거라 꼬끼오 / 법이 검은 관가야 꼬끼오 / 법 밝으라 꼬끼오 / 덕 쌓으라 꼬끼오 / 법 밝으라 꼬끼오”라는 닭 울음소리가 들렸다.

모티프 분석

「계명골의 세 무덤」의 주요 모티프는 ‘야명주를 찾아 부자가 된 삼 형제’ ‘억울한 누명을 쓰고 세상을 떠난 삼 형제’, ‘삼 형제의 억울함을 담은 닭 울음소리’ 등이 결합되어 있다. 마음씨 착한 삼 형제는 생활이 어려운 형편에 부모님 묘를 찾아 제사를 지내고, 야명주를 얻어 부자가 된다. 그러나 욕심 많은 마 대감과 법과 질서를 무시한 관가의 횡포로 억울하게 마을을 떠나고, 그러한 삼 형제의 억울함이 닭 울음소리로 표출된다.

참고문헌
  • 한정춘, 『두만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 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