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망부 바위」

한자 亡夫 바위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요령성 단동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
주요등장인물 최 사또|김 사또|정씨 부인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4년 9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요령성 단동시
정의

요령성(遼寧省) 단동시(丹東市)에서 ‘망부 바위’의 유래와 관련하여 전해지는 설화.

개설

「망부 바위」는 ‘망부 바위’의 유래를 설명하는 바위굴 전설[岩窟 傳說]이자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최 사또는 김 사또의 아내 정씨를 취할 계략으로 김 사또에게 독약을 탄 술을 마시게 한다. 그fj고는 김 사또의 아내 정씨에게 첩으로 들 것을 권한다. 그러나 정씨 부인은 김 사또가 죽지 않았을 것이라는 믿음으로 바다가 바라보이는 압록강 기슭에서 매양 김 사또를 기다리다가 돌로 변한다.

채록/수집 상황

1994년 9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단동시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황용철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압록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압록강 하류에 바다를 향해 치솟은 바위가 있는데, 이를 ‘망부 바위’라고 한다. 어느 고을에서 함께 일을 보는 김 사또와 최 사또가 있었다. 최 사또는 늘 김 사또에게 바다 구경을 가자고 권했다. 그러나 김 사또는 업무를 핑계로 마다했다. 이듬 해 봄, 최 사또가 다시 권하자 이번에는 김 사또도 거절하지 못하고 응했다. 그런데 최 사또가 그토록 바다 구경을 권한 것은 김사또를 죽이고 그 부인 정씨를 취하기 위함이었다.

최 사또는 바다 한가운데서 독을 탄 술을 김 사또에게 권했다. 이를 알 리 없는 김 사또는 술을 마시고 숨을 거두었다. 최 사또는 김 사또를 바다에 처넣었다. 그리곤 자기의 옷을 갈기갈기 찢었다. 최 사또는 그런 몰골로 정씨 부인을 찾아 폭풍을 만나 김 사또가 바다에 쓸렸다고 말했다. 정씨 부인은 그럴 리 없다며, 바다가 바라보이는 압록강 기슭에서 김 사또를 매일 기다렸다.

얼마 후 최 사또는 정씨 부인에게 첩으로 들 것을 요구했다. 정씨 부인은 정색했다. 그런데 이러한 사실을 최 사또의 부인 황씨가 모두 알아차렸다. 황씨는 독을 탄 술을 최 사또에게 권한 후 자신도 마시고 함께 죽었다. 한편 정씨 부인은 희망을 놓지 않고 압록강 기슭에서 김 사또를 그리다가 그만 바위로 굳어버렸다. 이에 사람들은 그 바위를 '망부 바위'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망부 바위」의 모티브는 ‘최 사또의 계략’과 ‘정씨 부인의 정절’이다. 정씨 부인은 남편인 김 사또의 죽음을 인정하지 않고, 바다가 바라보이는 압록강 기슭에서 매양 남편을 기다리다 바위가 된다. 특히 바닷가나 강가에서 사람 형상을 닮은 바위에 ‘망부(望父)’와 관련한 이야기가 형성, 전승되고 있다. 이루어질 수 없는 만남이나 사랑에 대한 안타까움을 극대화하려는 당대인의 인식이 발로되어 형성, 전승되고 있는 것이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 문학 대계』(한국학 중앙 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한정춘, 『압록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