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재」

한자 黃金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요령성 단동시 관전만족자치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지신|노득이|며느리
모티프유형 지신의 황금 사사와 며느리의 욕심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1월 8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요령성 단동시 관전만족자치현
정의

요령성(遼寧省) 단동시(丹東市) 관전만족자치현(寛甸滿族自治縣)에서 ‘황금재’와 관련해서 전해지는 설화.

개설

「황금재」는 ‘황금재’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노득'이라는 농부가 모든 사람들의 만류에도 불구하고 돌투성이 땅을 일구다가 지신(地神)의 배려로 황금 덩어리를 발견한다. 지신은 욕심을 경계하라 금기를 내렸지만, 노득이의 며느리가 금기를 깨뜨린다.

채록/수집 상황

1991월 8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단동시 관전만족자치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허대국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압록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압록강 하류의 북쪽 벌판에 ‘황금재’라는 고개가 있다. 먼 옛날, 노득이라는 농부가 일가를 데리고 황금재 인근 마을로 들어왔다. 노득이는 마을 사람들의 배려로 정착해 나갔다. 그리고 돌투성이인 돌바위재를 일구었다. 사람들은 힘들다 만류했지만, 노득이네는 해가 갈수록 조금씩 밭을 넓혀 갔다.

그러던 어느 날, 밭에서 황금 덩어리를 발견했다. 노득이는 황금 덩어리를 보자기로 고이 싸 뒤주에 보관했다. 그날 밤 꿈에 어느 도인이 나타나, 자신을 돌바위재의 지신(地神)이라고 하면서 황금을 마을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 쓰라고 했다. 다음 날, 뒤주를 열어보니 황금 덩어리가 새끼 황금 덩어리를 낳았다. 노득이는 매일 마을 사람들에게 새끼 황금 덩어리를 나누어주었다.

몇 해 후, 노득이가 인근 마을에서 며느리를 데려왔다. 그런데 며느리는 욕심이 많았다. 새끼 황금 덩어리를 나누어주지 말자고 계속 아우성쳤다. 이 때문에 집안에는 싸움이 그칠 날이 없었다.

결국 노득이는 황금 덩어리를 며느리에게 건넸다. 그러자 황금 덩어리가 돌덩어리로 변했다. 사람들은 노득이가 밭을 일구다 황금을 발견한 그 고개를 ‘황금재’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황금재」의 모티프는 ‘지신(地神)의 황금 사사와 며느리의 욕심’이다. 돌투성이인 땅을 어렵게 일군 대가로 지신은 노득이에게 황금 덩어리를 사사하며 욕심부리지 말하고 경계한다.

그러나 며느리의 지나친 욕심이 지신의 노여움을 산다. 돌투성이인 땅을 일군 그 자체가 황금을 일군 격이라는 의미와 함께 지나친 욕심에 대한 경계의 의미가 담겨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 문학 대계』(한국학 중앙 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한정춘, 『압록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