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虎山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호산향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어부|새끼호랑이 |
| 모티프유형 | 어부의 새끼 호랑이 보호와 새끼 호랑이의 보은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91월 8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호산향 |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집안시(集安市) 호산향(虎山鄕)에서 ‘호산(虎山)’과 관련해서 전해지는 설화.
「호산」은 ‘호산’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어부에게 은혜를 받은 새끼 호랑이가 성장하여 어부의 원수를 갚는다는 내용이다.
1991월 8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단동시 관전만족자치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허대국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압록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호산향 경내의 압록강 북쪽 기슭에는 ‘호산’이라고 하는 작은 산이 있다. 먼 옛날, 이곳에 늙은 어부가 살았다. 하루는 어부가 고기를 잡고 있는데 새끼 호랑이가 나뭇등걸에 몸을 의지한 채 떠내려오고 있었다.
그런데 입이 악어만큼 큰 물고기가 새끼 호랑이를 잡아먹으려고 물속에서 몇 번이고 튀어 올랐다. 어부는 새끼 호랑이가 가여워 건져주고는 물고기를 먹이로 주었다. 그리고 산으로 돌려보내려 했으나 새끼 호랑이는 어부의 뒤만 졸졸 따라다녔다. 그렇게 어부는 새끼 호랑이를 키우게 되었다.
어느 날, 어부는 새끼 호랑이와 함께 강가로 나왔다. 그런데 느닷없이 그 큰 물고기가 나타나 어부를 한입에 삼키곤 물속으로 사라졌다. 새끼 호랑이도 그제야 산속으로 들어갔다.
몇 해 후, 호랑이가 강가에 노루를 한 마리 물고 나타나더니 던져놓고는 사라졌다. 또 다음 날에도 그렇게 하고는 사라졌다. 사흘째 되는 날, 큰 물고기가 노루를 먹으려 물속에서 튀어 올랐을 때, 호랑이가 나타나 한바탕 싸움을 벌였다. 호랑이는 성장한 새끼 호랑이였다.
호랑이의 기세에 눌린 큰 물고기는 도망을 쳤다. 호랑이는 후에도 큰 물고기가 나타날 때까지 그 자리에 꼼짝 없이 웅크리고 앉아 있었다. 그러다가 산이 되어 버렸다. 이때부터 그 산을 ‘호산’이라고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