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望牛石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요령성 단동시 관전만족자치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재석이|둥글소|호랑이 |
| 모티프유형 | 둥글소의 죽음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92년 4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요령성 단동시 관전만족자치현 |
요령성(遼寧省) 단동시(丹東市) 관전만족자치현(寛甸滿族自治縣)에서 ‘망우석(望牛石)’과 관련해서 전해지는 설화.
「망우석」은 괴석(怪石) 세 기의 유래를 설명하는 바위굴 전설[岩窟傳說]이자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재석이가 정성껏 보살핀 세 마리의 둥글소[‘황소’의 북한어]가 세 마리의 호랑이를 물리치지만, 재석이의 예기치 못한 실수로 세 마리의 둥글소는 죽고 만다. 재석이가 세 마리의 둥글소를 압록강 기슭에 묻자 무덤에서 기이한 형상을 한 괴석이 솟아난다.
1992년 4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단동시 관전만족자치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최일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압록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먼 옛날, 재석이라는 농부가 둥글소 세 마리를 사왔다. 마을 사람들은 재석이를 보고 혀를 내둘렀다. 마을에서 눈 깜박할 사이에 자꾸만 소가 사라졌기 때문이었다.
재석이는 개의치 않고 소들을 정성껏 길렀다. 소들은 무럭무럭 자라 황소가 되었다. 재석이는 소들의 뿔을 날카롭게 갈아주었고, 목에는 뾰족한 철사 줄을 감아놓았다. 소들은 재석이를 잘 따랐지만, 어느 누가 다가오면 뿔로 박으려 난리치곤 했다.
그러던 어느 날, 재석이네 소들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재석이는 식음을 전폐하다시피 했다. 그런데 며칠 후 소들이 집으로 되돌아 왔다. 온몸은 상처투성이였다. 재석이는 쇠죽을 끓여 소들에게 먹였다.
소들은 배불리 먹고 한참을 쉬더니 다시 산 속으로 향했다. 재석이는 소들을 뒤쫓았다. 소들이 향한 곳은 늙은 호랑이 세 마리가 머무는 보금자리였다. 소들은 늙은 호랑이와 며칠간 싸움을 벌인 것이었다. 비록 맹수인 호랑이지만 늙은 터였고, 소들은 한창 힘이 쏟아나는 터였다. 또 소들의 뿔도 날카롭게 다듬어져 있었고, 목에는 철사 줄까지 감겨 있었다. 따라서 소들의 뿔에 받힌 호랑이들이 나자빠졌다.
재석이는 세 마리의 호랑이를 가져와 가죽을 벗겨 연자 방앗돌에 걸어놓았다. 그랬더니 소들이 그것을 살아 있는 호랑이인 줄 착각하고 힘껏 달려들어 뿔로 박았다. 이에 세 마리의 소 모두 뿔이 부러진 채 그 자리에서 일어나지 못했다.
재석이는 소들을 압록강 기슭에 묻었다. 그 후 소들이 묻힌 곳에서 기이하게 생긴 괴석이 세 개나 솟아났다. 사람들은 이 괴석을 ‘망우석’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망우석」의 모티브는 ‘세 마리 둥글소의 죽음’이다. 정성을 다해 기른 둥글소가 호랑이를 물리치지만, 주인의 예기치 못한 실수로 죽고 만다.
소나 말을 수호하는 마구신(馬廐神)을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위했으니, 농경사회에서 소나 말은 인간의 목숨만큼이나 소중한 존재였다. 이에 소나 말에게 일종의 인격을 부여하는 한편 신성성을 조장하기도 했다. 「망우석」의 전체적인 내용에도 농경사회에서 형성된 소나 말에 대한 특별한 인식이 관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