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 바위와 자라 바위」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두 부자
모티프유형 부자의 지나친 욕심에 대한 응징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4년 9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정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에서 ‘거북 바위와 자라 바위’와 관련해서 전해지는 설화.

개설

「거북 바위와 자라 바위」는 압록강 중류에 솟아 있는 ‘거북 바위’와 ‘자라 바위’의 형성 유래를 지닌 바위굴 전설이다. 압록강의 남쪽과 북쪽 일대를 각기 사들인 두 명의 부자가 자신들 권역의 모든 물고기를 탐하려다 거북 형상의 바위, 자라 형상의 바위가 되었다는 내용이다.

채록/수집 상황

1994년 9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수상 등]이 집안시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 최문순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압록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압록강 중류의 남쪽 강안과 북쪽 강안에는 어부들이 많았다. 어느 해, 두 명의 부자가 남쪽의 땅과 북쪽의 땅을 각기 사들였다. 그리고 어부들에게 물고기를 마음대로 잡지 못하도록 했다. 산도 자기네 산이요, 강도 자기네 강이요, 땅도 자기네 땅이니, 물고기도 자기네 물고기라는 것이었다.

그런데 물고기를 보아하니 남쪽에서 노닐다가 북쪽으로 옮겨가기도 하고, 북쪽에서 노닐다가 남쪽으로 옮겨가기도 했다. 이에 남쪽의 부자와 북쪽의 부자는 자기네 구역에서 노니는 물고기가 다른 곳으로 가지 못하도록 바위에 앉아 항시 물고기 떼를 몰곤 했다. 그러다 결국 남쪽의 부자는 거북 바위가 되고, 북쪽의 부자는 자라 바위가 되었다.

모티프 분석

「거북 바위와 자라 바위」의 모티프는 ‘압록강의 물고기를 모두 탐하려고 한 두 부자의 지나친 욕심에 대한 응징’이다. 두 부자가 압록강의 물고기까지 모두 자기의 것이라 여겨 물고기가 노니는 것까지 제어하다가 결국 자신들이 압록강에서 거북이 형상과 자라 형상의 바위로 변한다. 이 설화는 지나친 욕심에 대한 경계를 은연중에 드러내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 문학 대계』(한국학 중앙 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한정춘, 『압록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