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高麗葬 무덤 터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전설|풍속 유래 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박새 노인|두 사내 |
| 모티프유형 | 박새 노인의 전란 극복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94년 9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
| 관련 지명 | 압록강 북쪽 기슭 |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집안시(集安市)에서 ‘고려장 무덤 터’와 관련해서 전해지는 설화.
「고려장 무덤 터」는 ‘고려장 풍습의 단절 계기’를 설명하는 풍속 유래 전설(風俗由來傳說)이다. 반신불수의 신세가 되어 고려장을 당할 수밖에 없던 한 노인의 지혜와 경험을 빌려 큰 전란을 막을 수 있었고, 그 일로 인해 국법으로 고려장 풍습을 폐지했다는 내용이다.
압록강 북쪽 기슭의 칠성산(七星山)에는 이름 없는 무덤떼가 군데군데 있다. 먼 옛날, 압록강을 따라 두 사내가 길을 걷고 있었다. 한 기슭에 도달했을 때, 멀리서 살려달라는 소리가 들렸다. 두 사내는 소리가 나는 곳으로 달려갔다. 그러자 어느 노인이 구덩이에서 몸을 웅크리고 있었다. 두 사내는 노인을 구덩이에서 꺼내어 주고 감자를 건넸다.
노인은 감자를 먹은 후 본인은 어느 마을에 사는 노인인데, 반신불수가 되어서 이렇게 고려장을 당할 수밖에 없었노라고 했다. 두 사내는 그 마을에 사는 박새라는 노인을 아느냐고 물었다. 노인은 본인이 박새라고 했다. 두 사내는 반기며 박새 노인에게 새에 대해 물어보려 왔다고 했다. 박새 노인은 어려서부터 새를 좋아해 새에 대해 모르는 바가 없었다.
두 사내의 얘기인즉슨, 인근 나라에서 새 두마리를 왕에게 가져와서 잘 기르라고 했다. 그러나 새는 아무것도 먹지 않고 울기만 했다. 새가 죽으면 전쟁이 날 판이라, 왕은 대신들에게 방도를 찾으라 했다. 어느 대신이 박새란 사람이 새에 대해 잘 아니 그를 찾아서 물어보면 될 것이라고 해서, 두 사내가 새를 들고 달려온 것이었다.
박새는 새를 보더니, 이 새는 동박새인데 초가 처마 밑에 있는 거미와 거미줄을 먹는다고 했다. 이에 새를 살려낼 수 있었고, 전쟁도 막을 수 있었다. 이 사실을 들은 왕은 더 이상 고려장을 하지 못하도록 명을 내렸다.
「고려장 무덤 터」의 모티프는 ‘박새라는 노인의 지혜와 경험으로 인한 전란 극복’이다. 노동력을 상실한 노인들을 고려장 하는 것이 당연했던 현실에서 노인들의 지혜와 경험이 노동력보다 더한 가치가 있다는 것으로 인식이 변모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