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仙人 洞窟 |
|---|---|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
| 유형 | 작품/설화 |
| 지역 |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설화|전설 |
|---|---|
| 주요등장인물 | 적선|적각 |
| 모티프유형 | 적선과 적각의 수련과 대립|적선의 인삼 씨 파종 |
|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 1989년 8월 |
| 수록|간행 시기/일시 | 2010년 |
| 관련 지명 |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
1989년 한정춘이 본계시(本溪市)에 거주하는 서두철에게서 채록한 압록강 상류에 있는 ‘선인 동굴’의 지명 유래 설화.
1989년 8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桓仁滿族自治縣)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조선족] 서두철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압록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압록강 상류의 노령산 기슭에는 기이한 동굴이 있다. 먼 옛날, 압록강 수림에 도술이 뛰어난 도사가 살았다. 도사는 무예가 출중했음은 물론 죽어가는 사람을 살릴 정도로 의술이 뛰어났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그를 일러 선인(仙人)이라고 했다.
선인에게는 적선, 적각이라는 두 명의 제자가 있었다. 그런데 적선은 성실했지만 적각은 게을렀다. 그리고 날이 날수록 두 사람의 격차가 벌어졌다. 어느 날, 선인은 두 제자를 불러 각기 깊은 산으로 들어가 3년 간 수련하라 했다. 이에 적선과 적각은 깊은 산으로 들어갔다. 적선은 스승의 명대로 수련에 임했다.
그러던 어느 날 적선의 꿈에, 한 도인이 나타나 몇 줌의 인삼 씨를 주며 이를 산야에 뿌리라고 했다. 적선이 꿈에서 깨자 놀랍게도 머리맡에 인삼 씨가 놓여 있었다. 적선은 인삼을 심고 가꾸었다. 그러나 적각은 삼년 간 허송세월만 보냈다. 심지어 민가에 내려가 노략질까지 서슴지 않았다.
그리고는 때를 맞춰 적각은 적선에게 찾아가 며칠 후에 함께 하산하자 했다. 그리고 그 날 밤, 적각은 인삼과 인삼 씨를 모두 훔쳐 달아났다. 적선은 분개해 적각을 뒤쫓았고, 적각과 맞서 며칠 간 겨루었다. 그러나 결판이 나지 않았다. 그러던 중 하늘에서 흙먼지가 날리더니 난데없이 적각의 봇짐으로 화살이 날아들었다. 그 바람에 적각의 봇짐에서 인삼 씨와 인삼이 수림으로 흩날렸다.
화살을 쏜 사람은 선인이었다. 선인은 적각을 내쫓고 적선을 적통으로 맞아들였다. 그리고 동굴로 들어 여생을 보냈다. 그때부터 그 동굴을 '선인 동굴'이라고 부르게 되었으며, 선인이 화살을 쏘아 인삼 씨와 인삼을 흩날린 덕에 백두산 줄기에 인삼이 많이 자라는 것이라고 여기게 되었다.
「선인동굴」의 모티프는 ‘적선과 적각의 수련과 대립’과 ‘적선의 인삼 씨 파종’이다. 선인이란 도를 닦는 사람으로 인식되어 왔다. 여기서 ‘도’란 인간의 이치를 넘어 자연의 이치까지 함께 통달하는 것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
선인은 두 제자 중에서 적선이 도를 깨우칠만하다고 여기고 그와 함께 도를 닦으며 여생을 보낸다. 한편 그러한 선인의 품성을 간직한 적선이기에 어느 도사도 적선에게 인삼 씨를 건네어 파종케 한다. 백두산 인삼, 산삼의 신성성을 선인을 통해 덧붙여 그려내고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