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천령」

한자 남천嶺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백산시 임강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남천이
모티프유형 도적떼에 대한 남천이의 복수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9년 4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백산시 임강시
정의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임강시(臨江市)에서 ‘남천령’ 고개와 관련해서 전해지는 설화.

개설

「남천령」은 ‘남천령’ 고개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어느 노승의 제자인 남천이가 스승의 원수를 갚는 것은 물론 뭇 백성을 구하기 위해 도적떼를 남천령 고개에서 일망타진한다는 내용이다.

채록/수집 상황

1989년 4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임강시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조선족] 남인수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압록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압록강 북쪽으로 뻗은 울창한 소나무 숲에 자그마한 암자가 있었다. 암자에는 백 살을 넘긴 노승이 있었는데, 노승에게는 남천이라고 하는 제자가 있었다. 노승은 인근 백성들이 도적떼로부터 노략질 당하는 것을 알고, 그것을 막아보자는 뜻에서 제자에게 무예를 전수시켰다.

어느 날, 남천이가 자리를 비운 사이 도적떼가 암자까지 들이닥쳤다. 도적떼는 노승이 불로초를 먹었기 때문에 백 살을 넘길 수 있었다고 하며 불로초를 내놓으라고 윽박질렀다.

노승이 그런 것은 없다고 하자, 도적떼 두목은 몽둥이를 휘둘렀다. 그러나 노승은 재빨리 피했다. 비록 나이는 들었지만 매우 날랜 몸동작이었다. 도적떼는 일제히 노승을 향해 화살을 쏘았다. 이내 노승은 화살을 맞고 쓰러졌다. 도적떼는 암자에 불을 지르고 사라졌다.

뒤늦게 도착한 남천이는 오열했다. 노승을 고이 모신 후, 복수를 결심하고 홀로 3년 간 무예를 갈고 닦았다. 그리고 결전의 날, 남천이는 도적떼를 어느 고갯마루에서 만나 일망타진했다. 이로 인해 사람들은 그 고개를 ‘남천령’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남천령」의 모티프는 ‘도적떼에 대한 남천이의 복수’이다. 남천이는 스승을 죽인 원수이자 백성들의 재산을 노략질하는 도적떼를 어느 고갯마루에서 일망타진한다. 인과응보(因果應報) 또는 권선징악(勸善懲惡)의 이야기 원형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 문학 대계』(한국학 중앙 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한정춘, 『압록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