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님관일대」

한자 스님觀日垈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스님|호랑이
모티프유형 해돋이 명승과 스님의 수련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9년 8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정의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장백조선족자치현(長白朝鮮族自治縣)에서 ‘관일대(觀日垈)’와 관련해서 전해지는 설화.

개설

「스님관일대」는 압록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한 산봉우리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어느 해부터 한 스님이 매일 관일대에 올라 해돋이를 본 후 염불을 왼다. 어느 날 스님은 동물과 인간에게 해를 가하던 호랑이에게 엄벌을 내린다. 이후 호랑이는 스님 곁을 떠나지 않고 함께 수도한다.

채록/수집 상황

1989년 8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장백조선족자치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조선족] 정익선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압록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관일대는 압록강 상류에 위치하고 있는 봉우리로서 해돋이가 일품이다. 어느 해부터 한 스님이 관일대를 찾았다. 스님은 매일 아침 샘물을 마시고 봉우리에 올라 해돋이를 본 후 염불을 외웠다.

그러던 어느 날 큼직한 사슴이 뒷다리를 절룩거리며 스님 앞에 나타났다. 사슴은 수백 년 묵은 호랑이를 피하다 상처를 당했던 것이다. 스님은 샘물로 사슴의 상처를 치료해주었다.

얼마 후 호랑이가 나타나 스님 앞에 우뚝 섰다. 스님은 가부좌를 틀고 앉아 호랑이를 향해 호통을 쳤다. 그러자 호랑이가 맞서 스님을 향해 달려들었다. 그러나 달려들 때마다 스님이 순식간에 사라져 호랑이는 맨 바위에 머리를 부딪쳤다.

호랑이는 스님에게 굴복하고, 더 이상 동물과 사람을 괴롭히지 않을 것을 약속했다. 그런 후에도 호랑이는 스님 곁을 떠나지 않았다. 이때부터 스님이 호랑이와 함께 가부좌를 틀고 앉아 해돋이를 보면 그곳을 ‘스님 관일대’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스님관일대」의 모티프는 ‘해돋이 명승과 스님의 수련’이다. 어느 도통한 스님이 동물과 인간에게 해를 가하던 호랑이를 맨 손으로 제압한 후 호랑이와 함께 매일 산꼭대기에서 해돋이를 보며 수련한다. 도통한 스님이 참선하고 수련한 곳이라는 이야기를 통해 ‘스님 관일대’가 명승임을 은연중에 강조하고 있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 문학 대계』(한국학 중앙 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한정춘, 『압록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