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녀화장봉」

한자 天女化粧峰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설화|전설
주요등장인물 천녀|산신
모티프유형 천궁의 천녀와 백두산 산신의 조우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90년 7월
수록|간행 시기/일시 2010년
관련 지명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정의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장백조선족자치현(長白朝鮮族自治縣)에서 ‘천녀화장봉(天女化粧峰)’과 관련해서 전해지는 설화.

개설

「천녀화장봉」은 ‘천녀화장봉’의 지명 유래를 설명하는 지명 전설(地名傳說)이다. 백학을 타고 동해 용왕에게 가던 천궁의 천녀가 광풍으로 인해 백두산 수림으로 떨어진다. 백두산의 산신이 천녀를 구해 예쁜 옷을 지어 입히고, 곱게 화장을 해준 후 천궁으로 돌려보낸다.

채록/수집 상황

1990월 7월, 한정춘[1953년 길림성 혼춘시 출생, 『연변 일보』 향토 문학상, 연변인민출판사 이영식 아동 문학상, 연변조선족자치주 진달래 문학상 등 수상]이 장백조선족자치현에 거주하고 있는 한인[조선족] 김옥희에게서 채록했다. 2010년에 연변인민출판사에서 발간한 『압록강 유역 전설집』에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다.

내용

어느 날, 백두산에 사나운 광풍이 불었다. 이에 바위는 흩날렸고, 나무는 뿌리째 뽑혔고, 온갖 길짐승·날짐승이 자취를 감추었다. 그리고 광풍 탓에 압록강 상류 어느 산봉우리까지 한 처녀가 날아와 쓰러졌다. 처녀의 온몸은 상처투성이가 되었다. 이때 비둘기들이 깃털에 물을 묻히고 날아와 처녀의 입술을 적셔주었다. 사실 이 처녀는 천궁에 살고 있던 천녀(天女)인데, 백학을 타고 동해 용왕에게 가던 길에 광풍에 날려 이곳까지 오게 되었던 것이다.

얼마 후 어느 노파가 천녀에게 다가왔다. 노파는 백두산의 산신(山神)이었다. 비둘기를 보내 천녀를 보살피게 한 것도 백두산 산신의 뜻이었다. 백두산의 산신은 천녀에게 물동이와 버들잎을 건네며, 버들잎에 물동이의 물을 묻혀 몸에 바르면 상처가 나을 것이라고 했다. 천녀는 백두산의 산신이 이른 대로 했다. 그러자 며칠 만에 상처가 나았다. 물동이에는 백두산의 천수(天水)가 들어 있었다.

천녀는 백두산의 산신과 며칠 머물기로 했다. 그러던 중 백두산의 산신으로부터 본인의 내력을 들을 수 있었다. 백두산의 산신은 천궁에 살던 궁녀였는데, 천왕의 명으로 백두산의 천수를 길러 내려왔다가 세상이 아름다워 올라가지 않고 장백산에 머물던 것이었다.

백두산의 산신은 천녀에게 예쁜 옷을 지어주고, 또 화장을 곱게 시켜준 후 하늘로 올려 보냈다. 이로부터 천녀가 하늘로 올라 간 산봉우리를, ‘천녀가 화장을 한 후 올라간 봉우리’라는 뜻에서 ‘천녀화장봉’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모티프 분석

「천녀화장봉」의 모티브는 ‘천궁의 천녀와 백두산 산신의 조우’이다. 고대로부터 명산의 원형적인 산신은 여성인데, 이는 산신의 신격(神格)이 안녕과 풍요라는 점에서 설득력을 갖는다. 또 이것은 오늘날 대부분의 산신이 남성성을 드러내고 있는 점과 대조적이다. 「천녀화장봉」에 등장하는 백두산의 산신은 여성이다. 그러나 다른 설화에 비해 그 내용이 고착화된 것은 아니다. 천궁의 천녀에게 새로이 옷을 지어 입히고, 화장을 해주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백두산의 산신을 천궁의 천녀 출신으로 설정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 『한국 구비 문학 대계』(한국학 중앙 연구원, 1980)
  • 『한국 민속 문학 사전』-설화편(국립 민속 박물관, 2012)
  • 한정춘, 『압록강 유역 전설집』(연변인민출판사, 201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