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기촌[안도현]

한자 紅旗村[安圖縣]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조선족 마을
면적 21.10㎢
가구수 92가호
인구[남/여] 458명(24명 한족)
개설 시기/일시 1983년
변천 시기/일시 1920년
변천 시기/일시 1929년
변천 시기/일시 1945년
조선족 마을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 북위 42°44′-43°07′동경 128°03′-128°28′
정의

길림성 연변조선족자치주 안도현에 위치한 조선족 마을.

개설

총 면적이 21.10㎢인 홍기촌은 동쪽은 강원촌(江源村), 서쪽은 영부촌(永富村), 남쪽은 영경향 통양촌(永慶鄕通陽村), 북쪽은 고성(古城), 금광촌(金光村)과 인접하여 있다. 전체 인구 485명중 24명을 제외하고 모두 조선족이다.

경작지 면적은 105.4㏊이며 그중 한전(旱田)은 19㏊이다. 토양은 산성이 강하며 토양 속 유기함량은 5.77%이다. 벼, 옥수수, 콩을 재배하며 특산물은 원삼이다. 마을에는 초등학교, 위생소, 방송실, 양미 가공장이 있으며 요·금(遼·金)시기의 유적지가 있다.

명칭 유래

민국 초기에는 “2호 부락”이라고 불려졌다. 1945년 해방 후 혁명과 문화 대혁명의 영향을 받아 “홍기”라고 명명하였다.

형성 및 변천

민국 초년부터 사람이 살기 시작하였다. 1920년 고동하(古洞河) 관할에 있었으며 “2호 부락”을 줄여서 “2호” 라고 불렀다. 1929년 일본 침략자들의 개척단이 주둔하여 있었고 1945년에 안도현 만보구(安圖縣萬寶區)에 귀속되었다. 1958년 인민공사화 시기에 홍기대대, 1983년에 홍기촌이라고 명명하였다.

자연환경

홍기촌은 북대정자산(北大頂山)의 서쪽에 위치하였으며 지형이 조금 높다. 무상일수(无霜期)는 110-130일이며 생장기는 120-128일, 5~9월 활동 누적 온도는 섭씨23.81도, 강수량은 530㎜이다. 삼림 면적은 1637㏊이며, 집체 임지 면적은 289㏊이며 활엽차생림(活葉次生林) 위주로 복개율은 78%이다. 마을 내 고동하가 동북에서 서남으로 흘러 지나고 있다.

현황

홍기촌은 마을에서 집집마다 수도시설이 완비되어 있으며, 초등학교, 방송실, 양곡 가공장이 있다. 더불어 요·금(遼·金)시기의 유적지 하나가 있다. 명동 도로가 마을 동쪽에 위치하였으며 특산물은 원삼이다. 개혁개방이래 촌의 많은 젊은이들은 해외나 중국 동부의 경제가 발달한 지역으로 떠났으며 마을에는 노인들만 남은 것이 마을발전이나 나아가 지역발전의 큰 문제로 되고 있다.

참고문헌
  • 『안도현지명지(安图县地名志)』(延边人民出版社, 1989)
  • 『연변조선족자치주지(延边朝鲜族自治州志)』(延边朝鲜族自治州地方志编纂委员会, 1996)
  • 중국 행정 구획(http://www.xzqh.org/html)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