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本溪滿族自治縣 |
|---|---|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 지역 | 요령성 본계시 |
| 시대 | 현대/현대 |
| 성격 | 만족 자치현 |
|---|---|
| 면적 | 3,362㎢ |
| 인구[남/여] | 30만 명 |
| 개설 시기/일시 | 1906년 |
| 변천 시기/일시 | 1989년 |
| 만족 자치현 | 북위41도18분동경124도7분 |
요령성 본계시에 속한 만족 자치현.
본계만족자치현은 총 면적 3,362㎢이고, 2007년 기준 인구 30만 명, 인구 밀도 89명/㎢이다.
오늘날 본계만족자치현은 과거 진, 한, 위, 진(晉)의 시대에는 요동군에 속하였고, 고구려의 관할지였다. 당나라 시기에는 안동 도호부, 요나라와 금나라 시기에는 요양현과 석성현 관할이었고, 원나라 기에는 요양로(遼陽路), 명나라 시기에는 초하천호소(草河千户所)를 이곳에 설치하였다.
본계현이 최초로 설치된 때는 1906년이며, 1945년에 본계현 정부가 만들어졌고, 1952년 본계현이 폐지되고 본계시로 편입되었다가, 1956년 다시 본계현으로 회복되고 본계현 정부가 본계시에 소재하였다. 1989년에 본계현이 폐지되고 현재와 같이 본계만족자치현이 설립되었다.
본계만족자치현의 행정구역 변화를 살펴보면 1997년 12개진, 4개 향이었다가, 2000년에는 부가루자향이 폐지되어 12개진, 3개 향으로 재편되고, 다시 2005년에 11개진, 3개 향이 되었다가 2006년에 편령진을 폐지하고 관할구역을 조정하여 10개 진, 1개 향으로 조정하였다. 하위 행정구역의 명칭을 보면 동영방향(東營坊鄕) 하위 진으로는 소시진(小市鎭), 전포전진(田師傅鎭), 초하구진(草河口鎭), 연산계진(連山關鎭), 청하성진(淸河城鎭), 남전진(南甸鎭), 지안창진(碱廠鎭), 초하성진(草河城鎭), 편령진(偏嶺鎭), 초하장진(草河掌鎭), 고관진(高官鎭)이 있으며, 1개의 향으로는 동영방향(東營房鄕)이 있다.
본계만족자치현의 총 면적은 3,362㎢ 이고, 2002년 기준 인구 30만 명, 인구 밀도 89명/㎢이다. 2006년 이후 하위 행정구역으로 1개의 관음각가도(觀音閣街道), 10개의 진, 1개의 향이 속해 있다.
2000년의 인구센서스 결과에 의하면 본계만족자치현의 인구는 29만 3,834명이며, 당시 12개의 진과 3개 향의 인구 분포를 보면 소시진 8만 5,035명, 초하장진 11,257명, 초하성진 13,020명, 초하구진 2만6,077명, 연산계진 14,763명, 편령진 14,973명, 청하성진 11,896명, 산성자진 10,748명, 천수진 10,177명, 전보전진 3만3,000명, 남전진 16,557명, 감창진 20,557명, 고관향 7,634인, 동영방향 9,389명, 삼하곡향 8,751명이 분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