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원만족자치현

한자 淸原滿族自治縣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요령성 무순시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면적 3,921㎢
인구[남/여] 2007년 기준으로 34만 명
개설 시기/일시 1925년
변천 시기/일시 1989년
정의

요령성 무순시에 속한 만족 자치현.

개설

청원만족자치현(淸原滿族自治縣)[중국어 병음: Qīngyuán Mǎnzú Zìzhìxiàn]은 중화인민공화국요령성 무순시의 행정구역이다. 넓이는 3,921㎢이고, 인구는 2007년 기준으로 34만 명이다. 하위 행정 단위로 9개 진, 5개 향을 관할한다. 진은 청원진(淸原鎭), 대고가진(大孤家鎭), 홍투산진(紅透山鎭), 영액문진(英額門鎭), 남산성진(南山城鎭), 남구전진(南口前鎭), 초시진(草市鎭), 하가보진(夏家堡鎭), 만전자진(灣甸子鎭) 등이 있으며, 향은 토구자향(土口子鄕), 북삼가향(北三家鄕), 오가보향(敖家堡鄕), 대소하향(大蘇河鄕), 구내전향(枸乃甸鄕)이 있다. 무순시의 조선족 인구는 1990년 4만9,508명으로 성 내 조선족 인구 비율의 21.49%를 차지한다.

명칭 유래

청원현은 1925년 당시 비적이 상시 출몰하였던 각 현의 변경지역을 아우르는 현을 설치하여 통치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었다. 근본을 바로 하여 맑게 한다는 의미로 청원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후에 ‘源’자를 ‘原’자로 변경하여 현재와 같은 청원이라는 지명이 생겨났다. 청원의 의미는 “대지청평(大地淸平)” 큰 땅을 맑게 평정한다는 의미이다.

형성 및 변천

청원현은 연나라 요동군에 속한 지역으로서, 진과 한나라 시기에도 과거의 지명을 이어 받았고, 한나라 5년 서기 82년 현도군의 관할이 되었다. 동진 시기에는 전연, 전진, 후연의 땅이었지만, 북연과 로 이어지는 시기에 고구려의 영토에 속하기도 하였다. 당나라 시기에 안동 도호부에 속하였고, 발해가 건국된 후에는 서쪽 경계부에 속하였다. 요나라에서는 동경도 함주였고, 금나라에서는 함평로 성평현이었다. 원초에는 개원로 개원부였고 후에 요양행성 개원로의 관할지였다. 명나라에서는 요동 도지휘사사 삼만위의 통치를 받았다. 청하 이북은 소속에서 변화가 없었지만 이남 지역에서는 건주의 관할지였다. 청나라 강희제 때에 봉천부 개원현으로 편제되었고, 중화민국 초에는 봉천성에 속하였다.

1925년 9월 석개원, 철령, 신빙, 해룡, 유하, 동봉, 서봉 등의 현의 일부 지구를 합하여 청원현을 설치하였는데, 관할구역은 비적이 상시 출몰하였던 청대의 각 현의 변경지역을 아우르며 통치력을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설치한 것이다. 근본을 바로 세워 맑게 한다는 뜻으로 청원으로 이름을 붙였다. 1928년 산서성 청원현과 이름이 중복되므로 ‘源’자를 ‘原’자로 변경하여 현재와 같은 청원이라는 지명이 탄생하였다.

1947년 청원현 인민 정부가 구성되고 요북성 관할이 되었다가 1949년 요동성 소속으로 변경되고 1954년 요령성 관할이 되었다. 1989년 청원만족자치현이 설치되면서 오늘과 같이 무순시 관할 현이 되었다. 1997년 기준으로 청원만족자치현은 면적 3,978㎢이며, 인구는 34만7천명, 10개 진과 10개 향, 1개 민족향을 거느리게 되었다. 이후 하위 행정 단위의 개편이 여러 차례 있게 되는데, 1998년 두호둔진이 철폐되고 청원진에 합병되었으며, 남팔가조선족향은 2000년에 철폐되고 청원진에 합병되어 현재와 같이 9개 진, 5개 향으로 재편되었다.

자연환경

지형은 동남이 높고 서북이 낮은 형세이며, 저산성 구릉지 사이에 하천이 만든 계곡이 교차하고 있는 모습이다. 온대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며 연 강수량은 810㎜, 연 평균 기온은 5.3℃이다. 석탄과 함께, 동, 철, 대리석 등의 40여종의 광물이 확인되었다. 심양과 길림을 연결하는 심길 철로와 함께 202 국도가 청원-개원, 청원-신빈을 연결하면서 현 경계를 지난다.

현황

2000년 제5차 전국인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청원만족자치현의 전체 인구는 31만7,842명이다. 그 중에서 청원진은 8만6,489명, 홍투산진은 3만1,656명, 초시진 15,367명, 남산성진 2만7,393명, 남구전진 2만3,428명, 하가보진 2만7,936명, 영액문진 16,645명, 만전자진 15,635명, 대고가진 18,983명, 오가보향 9,765명, 북삼가향 14,796명, 토구자향 14,154명, 대소하향 8,595명, 구내전향 7,000명의 인구가 살고 있다.

참고문헌
  • 정신철, 『중국조선족사회의 변천과 전망』(요령민족출판사, 심양, 1999)
  • 沈林, 『中國的民族鄕』(民族出版社, 북경, 2001)
  • 鐵木尒, 『中國民族鄕統計分析与對策硏究』(民族出版社, 北京, 2002)
  • 김경진,「중국의 경우:민족구역자치의 실시」(민족연구』7, (경기대 민족연구소, 1999)
  • 조선족 사이버 박물관 (http://history.zoglo.net/)
  • http://www.xzqh.org/html/show.php?contentid=4204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