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화시

한자 綏化市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중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인구[남/여] 548만명
정의

중국흑룡강성에 속한 지급시.

개설

수화시는 흑룡강성에 속한 지급시로 1개 시구, 3개 현급시, 6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옛 이름은 북단림자(北團林子)였고 1885년 11월 20일에 수화로 개칭했다. 인구의 대부분은 한족이다. 소수민족중에는 만주족과 조선족이 많고 자치향, 자치진을 형성하고 있다. 유일한 조선족자치향인 흥화조선족향이 시의 중심부인 북림구에 있다.

명칭 유래

원래의 명칭은 북단림자(北团林子)였다. 이 일대 3개의  큰 숲이 있었는데 가장 북쪽에 있다고 해서 부른 이름이다.  1885년에 수화로 개칭했다. "수"는 안정의 의미를 가지고 "화"는 조화 혹은 교화의 뜻을 담고 있다. 북방의 변경 일대를 안정시킨다는 의미를 담은 것으로 여겨진다.

형성 및 변천

1885년 수화지역을 관리하는 행정부서가 처음으로 설치되었다. 1912년에 수화현이 되었다. 1956년 흑룡강성이 직접 관할하는 수화전구(綏化專區)가 설치되었고, 수화, 하이런, 북안, 수릉, 철력, 청안 등 13현이 수화전구의 관할 현이 되었다. 1999년 수화전구를 폐지하고 지급시 수화시를 설치하였다.

자연환경

수화시는 풍부한 자연 자원이 있다. 수화시 경작지 면적은 1백44만 4,054㏊로 흑룡강성 경작지 총 면적의 15.7%를 차지한다. 토질이 비옥하고 지세가 평탄하고 흑토, 흑갈토 등 경작에 좋은 토지가 80% 이상이다.

현황

2017년 현재 1구, 3시, 6현으로 구분되어 있다. 인구는 2015년 말 기준으로 약 548만명이다. 32개 민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족이 약 96%를 차지한다. 소수민족 자치향 또는 자치진은 7개가 있는데 그 가운데 1개만이 조선족민족향이고 나머지는 만주족 자치향또는 자치진이다. 민족촌 기준으로는 총 66개 민족촌이 있는데 조선족촌은 15개가 있다.

조선족은 수화시 중심지역인 북림구(北林區)에 있는 조선족민족향, 즉 흥화(興和)조선족향 이외에 경안(庆安)현, 수릉현, 해륜시에 상대적으로 많이 거주하고 있다. 특히 흥화조선족향은 주민의 99%가 조선족이다. 조선족들은 오래전부터 수전농업을 주로 하였다.

참고문헌
  • 이현국, 『중국국가행정지리』(인포차이나, 2009)
  • 수화시(http://www.suhua.gov.cn)
  • 바이두백과(http://www.baidu.com)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