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안시

한자 北安市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중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인구[남/여] 44만명
정의

중국흑룡강성 흑하시에 속한 현급시.

개설

북안시는 흑룡강성 북부에 위치한 경제 문화 중심 도시이다. 동쪽은 손극(孫克), 수릉과 접해 있고 남쪽 통긍하(通肯河)를 계선으로 해륜시(海倫市)를 마주보고 있다. 서쪽은 손극현과 인접해 있고, 북쪽은 오대연지시(五大連市)와 인접해 있다.

명칭 유래

20세기 들어와서 현이 설치되었다. 1938년 북안현이라는 명칭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그 이전에는 용문현(龍門縣) 또는 용진현(龍鎭縣)이라고 불리었다. 일설에 따르면 하이런(海倫)시 북쪽에 있고 이 지역을 안정시킨다는 의도로 북안(北安)이라고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형성 및 변천

1911년 하이런(海倫)에 용문(龍門)개간국이 설치되었다. 1916년에 용문개간국은 용문현이 되었다. 1932년 용문현 읍치가 북안진(北安鎭)으로 옮겨왔고 이어 1938년 현 명칭도 북안현으로 바뀌었다. 1945년에는 흑룡강성 정부도 이 북안현에 설치되어 성도(省都) 역할을 하였다. 1960년에 시가 되었다.

자연환경

북안시는 온대 대륙성 기후이며 토지가 비옥하여 밀과 콩의 주요 생산 기지이다. 북안시 총 면적 중 삼림 면적이 40.6%, 구릉이 51%를 차지하며, 평원이 8.4%로 “육산일수삼분전(六山水三分田)”라 불리운다.

현황

북안시는 빈북(濱北), 제북(齊北), 북흑(北黑)의 3갈래 철도 간선과 전눈(前嫩), 길흑(吉黑), 수북(綏北) 등 3갈래 고속 도로 및 흑대(黑大), 전북(碾北)의 2갈래 국도가 교차하는 교통요지이다. 그래서 중국 내륙에서 러시아 및 동유럽 국가를 통하는 무역 통로의 중축 역할과 흑룡강성 서북부의 중요한 상품 집산지와 허브 역할을 한다. 2014년 현재 북안시는 6개 가도, 4개 향, 5개 진 등의 하위행정구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2010년 현재 인구는 44만명이며, 한족외에 만주족, 다우르족(达斡尔族), 몽골족, 조선족, 시보족(锡伯族) 등 23개 소수민족들이 거주한다.

조선족들은 대부분 자치향인 주성조선족향(主星朝鮮族鄕)에 거주한다. 주성조선족향은 북안의 남단에 위치하는데 12개 행정촌으로 구성되어 있다. 1992년 자료에 의하면 조선족은 조선족향 거주인구의 약 절반 정도를 차지하였다고 한다. 마을들은 통긍하(通肯河) 하천변을 따라 길게 분포하고 있으며 조선족들은 하천을 이용한 논농사를 주로 하고 있다. 민족향에는 소학교 이외 조선족중학교[북안시주성조선족중학교]가 1곳이 있다.

참고문헌
  • 서기술·서명훈, 『흑룡강조선민족』(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8)
  • 이현국, 『중국국가행정지리』(인포차이나, 2009)
  • 바이두백과(http://www.baidu.com)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