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구현

한자 林口縣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흑룡강성 목단강시 임구현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면적 7,191㎢
인구[남/여] 38만 명
개설 시기/일시 1936년
목단강시 중심으로부터 120㎞, 칠대하시와 계서시 부터는 100㎞에 못 미치는 거리에 있다.
정의

흑룡강성 동남부 목단강시에 속한 현.

개설

흑룡강성 동남부에 위치하고 북위 44°46'~45°58', 동경 129°17~-130°45'이다. 동쪽은 계서시(鷄西市), 서쪽은 방정현(方正縣), 해림시(海林市), 남쪽은 목단강시(牡丹江市), 북쪽은 발리현(勃利縣), 의란현(依蘭縣)과 인접해 있다.

임구현의 남북 간 길이는 140㎞, 동서 간 길이는 113㎞이다. 소수 민족은 총 2.4만 명이며 만주족은 총 인구의 29.8%, 조선족은 5.7%을 차지한다. 행정 구획은 8개 진, 3개 향으로 이루어져 있다.

형성 및 변천

임구현 일대는 산림이 밀집해 있어 “삼림지구(森林之口)”라고 불리었다. 1936년에 기차역이 생기면서 “임구역”이라 불렸으며 교통의 요충지가 되었다. 1939년 6월 1일, 발리현, 밀산현과 목릉현(穆棱縣)중 일부 지역이 임구현 관할로 이전되었다.

자연환경

임구현의 서쪽과 북쪽은 장광재령(張廣才嶺), 과회산(鍋盔山), 완달산(完達山)이 있고, 남쪽과 동쪽에는 목단강 구릉 하곡 분지(牡丹江丘陵河谷盆地)와 노야령지긍특아령 저산 구릉(老爺嶺之肯特阿嶺低山丘陵)이 있다. 목단강이 남에서 북쪽으로 흘러 서쪽을 지나간다. 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며 삼림 자원과 야생 동물이 풍부하다.

참고문헌
  • 류충걸·김석주·김화, 『흑룡강성조선족 인구와 경제』(연변인민출판사, 2008)
  • 이현국. 『중국 국가 행정 지리』(서울: 인포 차이나, 2009)
  • 중국 행정 구획(http://www.xzqh.org)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