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녕현

한자 東寧縣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중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정의

중국흑룡강성 목단강시에 속한 현.

개설

흑룡강성 최남단쪽에 있는 현이다. 남쪽은 길림성, 동쪽은 러시아와 인접해 있으며 국경선의 길이는 179㎞이다.

명칭 유래

동녕현이라는 명칭은 ‘영고탑(寧古塔)의 동쪽에 있다’는 이유에서 유래하였다. 원래는 삼차구(三岔口) 지역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청나라 말기, 1881년 삼차구(三岔口)지역을 개간하기 위해 개척촌을 만들고 이를 관리하는 행정부서를 설치하였다. 1903년에 행정관청 수분청(綏芬廳)이 설치되었다. 1909년 수분청이 수분부로 승격되고 그 치소를 영고탑성으로 옮겼다. 이때 삼차구 지역을 관할하는 동녕청(東寧廳)이 설치되었다. 1913년 동녕청이 동녕현으로 변경되었다. 1967년에 목단강지구 관할 현이 되었다.

자연환경

동녕현의 동부는 태평령 산지(太平嶺山地)이며 서쪽과 북쪽에는 낮은 산들이 있고 동쪽에는 수분하곡지(綏芬河谷地)가 있다. 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며 금, 매탄, 석영석 등의 자연 광물이 매장되어있다.

현황

2015년 현재 5개 진, 1개 민족진, 즉 삼차구조선족진으로 구분되어 있다. 현청 소재지는 동녕진이다. 2014년말 현재 인구는 약 21만명이며, 한족 이외에 10개 소수민족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농업인구가 약 절반을 차지한다.

동녕현에 조선족 집단 거주 지역이 생긴 것은 1945년 일제 패망후 유랑하던 한인들이 수분하(綏芬河) 강 연안에 정착하면서부터이다. 이후 한인 마을은 계속 늘어나 1988년 당시 동녕현 내에는 조선족 집단 거주촌이 12개 있었다. 그 중 8개촌이 삼차구조선족향, 즉 지금의 삼차구조선족진에 있었다. 삼차구조선족진은 1954년 조선족자치구가 되었고, 1984년에 조선족자치향 그리고 1988년에 자치진이 되었다.

2016년말 기준 삼차구조선족진의 전체 인구는 16,149명이고 이 가운데 조선족은 6,137명이다. 20개 행정촌으로 구분되어 있는데, 조선족들은 8개 행정촌에 집단적으로 거주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조선족들이 사는 곳은 진의 행정중심지인 삼차구촌이다.

한편 삼차구조선족진에는 중국과 러시아 간 국경무역을 관장하는 동녕구안(口岸)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지역은 청나라 말기부터 중국인과 조선인 그리고 러시아인 간의 무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던 곳이었다.

참고문헌
  • 서기술·서명훈, 『흑룡강조선민족』(흑룡강조선민족출판사, 1988)
  • 류충걸·김석주·김화, 『흑룡강성 조선족 인구와 경제』(연변인민출판사, 2008)
  • 이현국, 『중국국가행정지리』(인포차이나, 2009)
  • 바이두백과(http://www.baidu.com)
  • 동녕현(http://www.dongning.gov.cn)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