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寧安市 |
|---|---|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 유형 |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
| 지역 | 흑룡강성 목단강시 영안시 |
| 시대 | 현대/현대 |
| 면적 | 7,870㎢ |
|---|---|
| 인구[남/여] | 44만 명 (2010) |
| 변천 시기/일시 | 1909년 6월 2일 |
| 변천 시기/일시 | 1910년 5월 |
| 변천 시기/일시 | 1993년 2월 12일 |
| 시 | 노야령 저산 구릉지에 위치 |
흑룡강성(黑龍江省) 목단강시(牡丹江市)에 속한 현급시.
영안시의 행정 구획은 1개 가도(街道), 7개 진(鎭), 5개 향(鄕)으로 이루어져 있다. 민족향으로는 강남조선족만족향(江南朝鮮族滿族鄕), 와룡조선족향(臥龍朝鮮族鄕) 2개가 있다. 소수 민족의 비율은 대략 총 인구의 19%정도 이며 그 중 만주족은 8.8%, 조선족은 7.8%를 차지한다.
영안의 원래 명칭은 “영고탑(寧古塔)” 이었다. ‘영고’는 만주어로 숫자 6 혹은 만주족의 6시조를 의미한다. ‘탑(塔)’은 만주어 발음으로는 ‘특(特)’이라는 발음이며 거주지라는 뜻을 가진다. 즉, 만주족의 6시조가 거주했던 지역을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