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릉시

한자 穆棱市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중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인구[남/여] 30만명
정의

중국흑룡강성 목단강시에 속한 현급시.

개설

목릉시의 동쪽은 동녕현(東寧縣), 남쪽은 길림성의 왕청현(汪清縣), 서쪽 동안시(東安市)·목단강시임구현(林口縣), 북쪽은 계서시(鷄西市), 동쪽은 러시아와 인접해 있으며 국경선 길이는 최대 4.8㎞이다 행정구획은 6개의 진, 2개의 향으로 이루어져 있다. 20개 소수민족이 거주하고 있으며 이 가운데 조선족의 숫자가 가장 많다.

명칭 유래

목릉시는 근처에 흐르는 목릉하(穆陵河)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목릉(穆陵)”은 만주어 “목륵은(穆勒恩)” 혹은 “목륜(木倫)”의 발음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다. 목륵은과 목륜은 모두 “말”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형성 및 변천

목릉시의 근대적 개발은 청 동치(同治) 2년(1863년)에 시작되었다. 즉 이때부터 본격적인 개간이 이루어지고 개간민촌들이 세워졌다. 이후 1909년에 목릉현이 설치되었고, 1995년에 목릉시가 되었다.

자연환경

목릉시는 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대에 속하며 저산 구릉지에 위치해 있다. 지세는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다. 경내에 장백산맥(長白山脈)이 이어져 있다. 목릉하(穆陵河)목릉시를 관통하여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른다. 목릉시의 소하천들은 대부분 목릉하의 지류들이다.

현황

목릉시는 6개 진, 2개 향, 127개 행정촌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 청사는 팔면통진(八面通鎭)에 있다.  목릉시는 자연조건상 농업, 임업이 발달하였던 곳이다. 대두(大豆)의 고향, 홍두삼나무(紅杜杉)의 고향이라는 별칭도 있다. 최근에는 2차산업과 3차산업의 비중이 더 높아지고 있다. 시 전체 인구는 약 30만인데 20개 소수민족 인구는 15,973명이다. 조선족 인구는 11,453명으로 소수민족인구 가운데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만주족이 5,261명에 이른다. 여러 소수민족들은 각기 민족촌을 형성하는데 시에는 18개 민족촌이 있다. 2013년에는 자치향 복록조선족만족향(福祿朝鮮族滿族鄕)이 새로 설치되었다. 이 향에는 4개의 조선족촌이 있다. 이 복록향 이외에도 조선족이 거주하는 민족촌이 여러 곳에 있다. 목릉시에는 소학교와 중학교 과정을 함께 교육하는 조선족학교가 3곳이 있다.

참고문헌
  • 서기술·서명훈, 『흑룡강조선민족』(흑룡강조선족출판사, 1988)
  • 류충걸·김석주·김화, 『흑룡강성 조선족 인구와 경제』(연변인민출판사, 2008)
  • 이현국, 『중국국가행정지리』(인포차이나, 2009)
  • 『중국행정구획총람』(도서출판 황매희, 2010)
  • 바이두백과(http://www.baidu.com)
  • 목릉시(http://www.muling.gov.cn)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