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송현

한자 撫松縣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중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인구[남/여] 30만명
정의

중국길림성 백산시에 속하는 현.

개설

무송현길림성 백산시에 속하는 현이다. 송화강 상류, 백두산의 서북 사면에 위치한다. 남쪽으로는 장백조선족자치현, 강원구와 인접하며 동쪽으로는 안도현 및 북한양강도삼지연과 접해있다.

명칭 유래

현청 소재지 지명인 무송진(撫松鎭) 명칭에서 비롯되었다. 원래 쌍전자(雙甸子)이라 부르던 곳이었는데, 송화강 상류를 의미하는 송(松)자와 이 일대를 안정시킨다는 무(撫) 두 글자를 따서 붙인 이름이다. 즉 현의 명칭은 송화강 상류 일대를 안정시킨다는 의미를 가진다.

형성 및 변천

청나라 시기에는 봉금지역이었는데, 19세기 이후 약초와 산삼, 사냥 등의 이유로 조선인의 유입이 증가했다. 1910년 처음으로 현이 설치되었다. 당시 현 명칭은 쌍전(双甸)현이라 하였다. 그해 말에 다시 무송현으로 개칭하였다. 1945년 이후 통화(通化)에 속하였다가, 1985년 백산시 관할 지역이 되었다.

자연환경

동남쪽으로 백두산과 접해 있다. 지세는 동남쪽이 높고 서북쪽으로 고도가 낮다. 4개의 백두산 산줄기가 지역을 통과하여 해발 1,000m가 넘는 산이 32개나 된다. 전체 면적의 90%가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하천으로는  두도송화강(頭道松花江), 이도송화강(二道松花江), 송강하(松江河)가 있으며 모두 백두산에서 발원한다. 기후는 대륙성 고산 기후에 해당하며, 지세에 따라 기온차가 심하다. 연 평균 기온은 1.9~4.3℃이고  연 평균 강수량은 763~834㎜이다.

현황

11개 진, 3개 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2013년말 기준으로 인구는 약 30만명이며 한족이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소수민족으로는 만주족, 조선족, 회장, 몽고족 등 13개 소수민족인구가 거주하고 있다. 이 일대에 조선인들이 거주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 중엽부터이다. 이후 조선인의 유입이 계속 증가하여 1916년 경에 약 2,200명, 1930년에 3,275명이 거주하였던 것으로 조사되었다.

참고문헌
  • 이현국, 『중국국가행정지리』(인포차이나, 2009)
  • 심혜숙, 『중국 조선족 취락지명과 인구분포』(연변대학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 무송현(http://www.fusong.gov.cn)
  • 바이두백과http://www/baidu.com)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