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강시

한자 臨江市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중국  
시대 현대/현대
상세정보
성격 행정 구역
인구[남/여] 21.6만명
정의

중국길림성 백산시의 현급시.

개설

임강시길림성 백산시에 위치한 현급시로서, 길림성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압록강을 경계로 북한의 자강도 중강군과 양강도 김형직군과 접해 있다. 동쪽으로는 장백조선족자치현과 맞닿아 있다.  2016년 현재 6개 가도, 6개 진, 1개 향으로 행정구역이 구분되어 있다. 총 인구는 21.6만명이다.

명칭 유래

1902년에 현이 설치되었는데 이때 압록강에 접해 있다고 해서 지명을 임강(臨江)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1902년 모아산(帽兒山) 부근에 임강현을 세웠다. 1959년 임강현이 없어지고 혼강시가 설치되었다. 1992년에 다시 임강현이 설치되었고, 1993년에 백산시 관할 현급시 임강시가 되었다.

자연환경

동쪽으로 백두산이 이어진다. 따라서 시 지역의 대부분이 높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압록강과 그 지류, 육도구하, 이도구하, 삼도구하 주변에만 국부적으로 충적지가 형성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생태환경은 탁월하다. 기후는 중온대 대륙성 계절풍 기후이고 사계절이 뚜렷하다. 연 평균 기온은 2-4℃이며, 연 강수량은 750~1,000㎜이다.

현황

2016년 현재 6개 가도, 6개 진, 1개 향으로 행정구역이 구분되어 있다. 총 인구는 21.6만명이다. 북한자강도 중강군을 연결하는 도로가 개설되어 있다. 과거에는 북한양강도 김형직군과 임강시 육도구진을 오가는 나루도 있었지만 1985년에 폐쇄되었다. 한인이 임강시에 거주한 것은 19세기 초반부터 이다. 당시에는 평안도와 함경도 출신 이외에 충청도 출신도 있었다고 한다. 이후 한인의 이주가 계속되어 1903년에 임강에는 2,650호 11,290명의 한인이 거주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러나 1936년 기록에는 3,160명으로 크게 줄어들었다. 많은 한인들이 농토가 협소한 임강지역을 떠나 보다 내륙으로 이주해간 것으로 추정된다. 1990년에 6개의 조선족마을들이 존재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현재 시의 육도구진(六道溝鎭)에 삼도양차(三道陽岔) 조선족민속촌이 조성되어 있다.

참고문헌
  • 이현국, 『중국국가행정지리』(인포차이나, 2009)
  • 심혜숙, 『중국 조선족 취락지명과 인구분포』(연변대학출판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92)
  • 이옥희, 『북중접경지역-전환기 북중접경지역의 도시네트워크』(푸른길, 2011)
  • 바이두백과(http://www.baidu.com)
  • 임강시(http://www.linjiang.gov.cn)
관련항목
관련 웹사이트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