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하구시는 길림성 통화시의 현급시로, 길림성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송요 평원과 백두산에 걸쳐 있다. 매하구시의 자연 환경은 서남부의 지세는 높고 중부의 지세는 낮다. 기후는 온대 계절풍 기후가 나타난다.
인구는 61만 5천 4백 명이며, 행정 구획은 5개의 가도, 12개의 진, 6개의 향, 소양만족조선족향 등 1개의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6년 현급시로 변경되었다.
형성 및 변천
매하구시는 1985년 중국 국무원은 해달현을 폐지하고 매하구시를 설립함으로써 기존의 해달현의 행정지역을 매하구시의 행정지역으로 하였다. 1986년 매하구시를 현급시로 변경하였다.
자연환경
매하구시는 송요 평원과 백두산에 걸쳐 있으며, 서남부의 지세는 비교적 높은 편이고 중부의 지세는 낮다. 가장 높은 곳의 해발 고도가 969m이며 휘발하(輝發河) 및 지류 등이 흐른다. 기후는 온대 계절풍 기후가 나타나고, 연 평균 기온은 4.6℃이며 연 강수량은 708㎜이다.
현황
매하구시는 길림성 통화시의 현급시로, 길림성 동남부에 위치하고 있다. 행정 구획은 5개의 가도, 12개의 진, 6개의 향, 소양만족조선족향의 1개의 민족향으로 구성되어 있다.
매하구시는 남북 간 거리는 97㎞, 동서 간 폭은 35㎞이다. 2009년 현재 면적은 2,174.6㎢이며, 인구는 61만 5천 4백 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