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천 초소

한자 大川 哨所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성곽(초소)
양식 석축
크기 둘레 153m
조성|건립 시기/일시 고구려
현 소재지 길림성 집안시 청하향 대천촌
원소재지 길림성 집안현 청하향 대천촌
정의

길림성 통화시 집안시 청하향 대천촌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초소.

위치

대천 초소는 길림성 집안시 청하향 대천촌의 북쪽 절벽 위에 위치하고 있다. 절벽은 동남 방향으로 돌출하여 청하 하곡으로 뻗어 있어 주변 일대를 한 눈에 조망할 수 있다. 남쪽으로 청하(淸河) 본류와 400m 떨어져 있으며, 통화-집안 도로와 550m 떨어져 있다. 통화-집안 도로는 본래 청하 북안에 개설되어 있었는데, 동북쪽으로 향하다가 초소가 있는 벼랑 아래를 지난 다음 동남 방향으로 방향을 꺾어 동남쪽 약 7.5㎞ 거리의 관마 산성을 관통하여 지나갔었다. 대천촌 동북 및 양목교자구(楊木橋子溝) 일대에 고구려고분이 다량 분포해 있다.

형태

대천 초소는 약 20m 정도 되는 절벽 위에 자리 잡고 있는데, 자연 지세를 활용해 둥글게 석축 성벽을 축조하였다. 평면은 대략 원형(圓形)이며, 전체 둘레는 153m이다. 현재 성벽의 기초 너비는 약 4m이며 높이 약 1m가 남아 있다.

의의와 평가

대천 초소는 혼강 본류에서 청하[위사하] 연안로를 거슬러 노령 산맥을 넘어 집안 분지로 향하는 교통로상의 험준한 협곡에 위치하고 있다. 절벽 위에 위치해 있으며, 규모도 전체 둘레가 153m밖에 안되기 때문에 독립된 성곽이라기보다는 다른 성곽의 보조 방어 시설로 추정된다. 동남쪽 7.5㎞에 위치한 관마 산성의 전방 초소로서 청하[위사하] 일대에서 도성 외곽의 방어선을 구성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 編委委員會 主編, 『集安縣文物志』(1984)
  • 李殿福 著, 車勇杰·金仁經 譯, 『中國內의 高句麗遺蹟』(학연문화사, 1994)
  • 王禹浪·王宏北,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哈爾濱出版社, 1994)
  • 魏存成, 『高句麗考古』(吉林大學出版社, 1994)
  • 秦升陽, 『高句麗歷史與文化』(吉林文史出版社, 2000)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