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합성 유적

한자 喇哈城 遺蹟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북전자향 만룡배촌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성곽
양식 평지성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3년 봄
발굴 조사 시기/일시 2006년
현 소재지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북전자향 만룡배촌
정의

요령성(遼寧省) 본계시(本溪市) 환인만족자치현(桓仁滿族自治縣) 북전자향(北甸子鄕) 만룡배촌(灣龍背村)에 있는 고구려 초기의 성곽 유적.

개설

나합성 유적은 부이강(富爾江)과 혼강(渾江)의 합류 지점 부근에 위치한 소형 평지성이다. 성벽은 쐐기형 성돌로 축조한 것으로 전하며, 평면은 방형이다. 고구려 시대에 축조한 것으로 비정하기도 하나 명확한 근거는 없으며, 향후 더욱 면밀하게 조사할 필요가 있다.

위치

나합성 유적은 부이강(富爾江)과 혼강(渾江)의 합류 지점 부근에 위치하는데, 행정구역상으로는 중국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북전자향 만룡배촌에 해당한다. 성터는 혼강 우안의 충적 평원에 자리 잡고 있는데, 평원은 남북 2㎞, 동서 너비 300~600m 전후로 좁고 기다란 모양을 이룬다. 평원의 앞뒤는 용처럼 기다랗게 뻗은 산[용산(龍山)]과 언덕[용강(龍崗)]으로 둘러싸여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09년에 간행된 『환인현지(桓仁縣志)』에 나합성에 대한 간략한 정보가 게재되어 있고, 1990년 이래 많은 연구자들이 고구려 초기 도성과 관련하여 주목하였다. 2002년에 환인현 문물관리소가 나합성의 소재를 찾으려고 하였으나 실패하였고, 2003년 봄에 환인댐에 수몰되었던 성터를 발견하고 성벽을 발굴하였다. 2004년과 2006년에서 환인현의 학자들이 나합성과 그 주변 유적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는데, 고구려 시기에 축조했다는 명확한 근거 자료를 확보하지는 못하였다.

형태

나합성 유적의 주변은 모두 산으로 둘러싸여 있지만, 성의 안팎은 넓고 평평한 충적 평지로 수몰 전에는 경작지로 사용되었다. 평면은 방형(方形)으로 길이와 너비는 200m 전후이며, 잘 다듬은 쐐기형 돌로 축조한 것으로 전해진다. 2003년에 성벽 85m 정도를 발굴하였는데, 위쪽 너비는 약 1m 정도였다. 2003년도 발굴에서 요금 시대의 토기나 명청 시대의 자기와 함께 토기편을 다수 출토하였는데, 고구려 시기 이전의 토기편도 포함되어 있었다.

현황

2013년 현재, 나합성 유적은 환인댐에 수몰되었지만, 수량이 적을 때는 성터가 조금 드러나고, 진흙탕이지만 석벽의 일부가 보이기도 한다.

의의와 평가

나합성 유적은 부이강과 혼강이 합류하는 수로 교통의 요충지에 위치하였다. 실제 20세기 초에는 혼강 수로를 운항하는 배들이 이곳까지 왕래하였다. 이에 나합성이 쐐기형 성돌로 축조되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고구려의 평지성으로 상정하고, 현도군(玄菟郡)의 현성(縣城), 고구려 초기 도성인 졸본성(卒本城), 비류국(沸流國)의 소재지 등으로 비정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현존하는 나합성이 고구려 초기나 그 이전에 축조되었다는 명확한 논거는 없다. 향후 보다 면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참고문헌
  • 梁志龍, 「桓仁地區高句麗城址槪述」(『博物館硏究』1992-1, 1992)
  • 王禹浪·王宏北, 「中國遼寧省桓仁縣高句麗刺哈古城址」(『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 哈爾濱出版社, 1994)
  • 馮永謙, 「高句麗城址輯要」(『北方史地硏究』, 中州古籍出版社, 1994)
  • 田中俊明, 「高句麗の興起と玄菟郡」(『朝鮮文化硏究』1, 1994)
  • 여호규, 「환인 나합성지」(『고구려 성』I-압록강 중상류편, 국방 군사 연구소, 1998)
  • 노태돈, 「고구려의 기원과 국내성 천도」(『한반도와 중국 동북 3성의 역사와 문화』,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 Mark E. Byington, 「Problems Concerning the First Relocation of the Koguryo Capital」(『고구려의 역사와 문화유산』, 서경문화사, 2004)
  • 王從安·紀飛, 「卒本城何在」(『東北史地』2004-2, 2004)
  • 王俊輝·梁志龍, 「北甸子尋古」(『桓仁縣報』2004. 6. 7, 2004)
  • 王從安·紀飛, 「說話喇哈城」(『桓仁縣報』2006. 3. 7, 2006)
  • 조법종, 「고구려 초기 도읍과 비류국성」(『백산 학보』77, 2007)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