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방구 산성

한자 瓦房溝 山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오리전자진 두도하촌 와방구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성곽(산성)
양식 석축
크기 동서 길이 300m, 남북 너비 200m
면적 약 6만㎡
조성|건립 시기/일시 고구려
현 소재지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오리전자진 두도하촌 와방구
원소재지 요령성 환인현 오리전자진 두도하촌 와방구
정의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오리전자진 두도하촌 와방구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산성.

개설

와방구 산성은 두도하자촌(頭道河子村) 관할이기 때문에 종래 두도하자 산성(頭道河子山城)이라고 불렀다. 산성의 서쪽으로 혼강 수로를 공제할 수 있어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입지하고 있다. 고구려국내성 시기에 성장립자 산성·북구 관애 등과 함께 혼강 하류 일대에서 도성 외곽의 방어선을 구성하였다고 이해된다.

위치

와방구 산성은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오리전자진 두도하촌 와방구에 위치하고 있다. 와방구는 길이 1㎞ 정도의 작은 산골짜기로 골짜기 입구는 서북쪽에 있고, 안쪽에 민가 수십 호의 와방구촌이 있다. 골짜기 입구에서 500m 떨어진 북쪽 산비탈에 와방구 산성이 있다. 와방구 산성의 서쪽 800m 떨어진 곳에서 혼강이 남류하고, 누하(漏河)가 서북쪽 850m 지점에서 혼강으로 유입된다. 산성 북쪽의 두도하자 하곡평지에는 환인에서 혼강 하류 방면을 거쳐 집안 경내로 진입하는 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동북쪽 4㎞에 오리전자진이 있고, 서북쪽 6㎞에 관전현(寬甸縣)과의 접경 지역인 사첨자진(沙尖子鎭)이 있다. 서쪽 1㎞에 관전현(寬甸縣) 하금갱촌(下金坑村)이 있다. 산성 정상에서는 혼강과 더불어 혼강 건너편 관전현의 마을이 한눈에 볼 수 있다.

형태

와방구 산성은 북쪽에서 남쪽을 바라보는 형국이다. 산성의 서남부에만 성벽을 축조하고 나머지는 산등성이를 자연 성벽으로 삼았다. 성 내부는 동북쪽이 높고 서남쪽이 낮으며, 동북쪽의 산등성이가 가장 높고 서남쪽에 골짜기 입구가 있다.

성곽의 평면은 전체적으로 긴네모꼴[장방형]로 동서 길이 300m, 남북 너비 200m로 총 면적 약 6만 ㎡이다. 와방구촌 민가의 건물이나 담장 축조에 산성의 성돌이 많이 사용되었는데, 대부분 잘 다듬은 쐐기형 돌로 평면은 사다리꼴이나 삼각형이며, 앞쪽이 넓은 반면 뒤쪽이 좁다. 어떤 것은 뒤쪽 끝이 약간 꺾인 뾰족한 꼬리를 형성해서 현지 주민들은 구자석(勾子石)이라고 부른다. 비교적 큰 것은 길이 45㎝, 너비 45㎝, 두께 16㎝이고 작은 것은 길이 20㎝, 너비 15㎝, 두께 14㎝이다.

현황

2013년 현재, 인공적으로 축조한 성벽은 심하게 무너져 흔적조차 찾기 힘들 정도로 많이 훼손되었다.

의의와 평가

와방구 산성에서 혼강을 따라 상류 방면으로 조금 올라가면 환인 성장립자 산성이 나오며, 여기에서 다시 동북쪽으로 혼강 지류인 누하를 거슬러 올라가면 환인북구 관애가 나온다. 와방구 산성의 서쪽 800m 떨어진 곳에서 혼강이 남류하고, 서북쪽 850m 지점에서 누하가 혼강으로 합류된다. 서쪽으로 혼강 수로를 감시할 수 있는 지정학적으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입지하며, 산성 북쪽의 두도하자 하곡평지에는 환인에서 혼강 하류 방면을 거쳐 집안 경내로 진입하는 도로가 지나가고 있다. 이로 보아 와방구 산성고구려국내성 시기에 성장립자 산성·북구 관애 등과 함께 혼강 하류 일대에서 도성 외곽의 방어선을 구성하였다고 파악된다.

참고문헌
  • 桓仁滿族自治縣文物志 編纂委員會, 『桓仁滿族自治縣文物志』(1990)
  • 梁志龍,「桓仁地區高句麗城址槪述」(『博物館硏究』1992-1, 1992)
  • 余昊奎, 『高句麗 城』I(國防軍史硏究所, 1998)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