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長百 古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
| 시대 | 고대/남북국 시대/발해 |
| 성격 | 성곽/평지성 |
|---|---|
| 양식 | 강돌로 축조 |
| 크기 | 남벽 길이 380m, 서벽 길이 240m 정도, 둘레 1200m. |
| 조성|건립 시기/일시 | 발해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6년 |
| 현 소재지 |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민주촌 |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장백조선족자치현(長白朝鮮族自治縣) 민주촌(民主村)에 있는 발해 시대의 고성.
장백 고성은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민주촌(民主村)압록강 우안의 충적지 가장자리에 자리잡고 있다. 고성의 동북 모서리에 장백현의 명승지인 선인도(仙人島)가 있으며, 압록강 건너편은 북한의 혜산시(惠山市)이다. 장백 고성의 동쪽에는 압록강이 서남향으로 흐르다가 고성의 동남쪽 부근에서 완만한 포물선을 그리며 서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고성 남쪽을 지나간다. 고성의 동쪽과 남쪽 모두 압록강과의 거리는 100∼200m 정도이다. 고성이 위치한 대지의 북쪽에는 높이 5m 정도의 큰 두둑이 있는데 장백 고성의 북벽으로 추정된다. 그 북쪽으로 장백현 소재지의 주택 지구가 펼쳐져 있다.
1960년에 선인도(仙人島) 서측의 과수원 일대에서 성곽 내부 건물지가 확인되었다. 건물은 긴 네모꼴[장방형]이며, 강돌로 축조하였다. 건물지의 규모는 남북 길이 26m, 동서 너비 20m 정도이며, 기단 너비 8.4m, 윗너비 1.5m, 높이 0.5∼1.5m 정도가 남아 있었다.
1986년 조사 때 건물지 외곽에서 동서 길이 380m, 남북 너비 240m 정도의 성벽 범위를 확인한 만큼 이 유구는 성곽 내부의 건물로 추정된다. 건물 남벽에서 너비 3m 정도의 트인 곳도 확인되었는데 건물 출입 시설로 추정된다. 1986년에 성벽 기초부를 발견하였는데, 남벽의 길이는 약 380m 정도이다. 또 남벽 서단과 대지 북쪽의 둔덕 사이에서 길이 240m 정도의 서벽도 확인되었다. 대지 북쪽에 위치한 높이 5m 전후의 둔덕은 북벽으로 추정된다. 전체 둘레는 약 1,200m 정도이다. 이로써 장백 고성의 대체적인 성벽 범위가 확인되었다.
2013년 기준, 장백 고성은 채소밭과 과수원으로 경작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