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依木樹 古城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 지역 |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삼과유수향 의목수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성곽(초소 혹은 봉화대) |
|---|---|
| 양식 | 석축 |
| 조성|건립 시기/일시 | 고구려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4년 |
| 현 소재지 |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삼과유수향 의목수촌 |
| 원소재지 | 길림성 통화현 삼과유수향의 목수촌 |
길림성(吉林省) 통화시(通化市) 통화현(通化縣) 삼과유수향(三棵榆樹鄕) 의목수촌(依木樹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군사 시설.
의목수 고성은 부이강(富爾江)의 지류인 삼과유수하(三棵榆樹河) 연안에 위치한 소형 초소 혹은 봉화대이다. 소자하(蘇子河) 상류에서 삼과유수하와 나고하(喇咕河)를 경유하여 혼강 본류로 나아가는 교통로를 방어하던 군사 시설로 추정된다.
의목수 고성은 길림성 통화현 삼과유수향 소재지에서 동북쪽 4㎞의 의목수촌 남쪽 300m 거리의 산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의목수촌 서쪽 150m 거리에 작은 개울이 남류하여 삼과유수하로 흘러들고 있으며, 하천 연안에는 하곡 평지가 동북-서남 방향으로 펼쳐져 있다. 마을 한가운데로 지방 도로가 관통하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큰 산들이 첩첩이 이어져 있다. 서남쪽 2.5㎞에 태평구문 고성(太平溝門古城)이 있고, 남쪽 약 20㎞ 거리에 영과포 산성(英戈布山城)이 있다.
의목수 고성의 성벽이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곳에는 기단석으로 추정되는 대석괴가 한 층 남아 있으나 반듯하지 않다. 또한 성벽 안팎 곳곳에 원래의 성돌로 추정되는 큰 석재가 흩어져 있다. 1984년 조사 당시 성 내부에 잡목이 우거져 있어서 유물 채집이나 관찰을 할 수 없었다고 한다.
2013년 현재 이동 통신사의 중계소가 설치되어 유적 전체가 완전히 파괴된 상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