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리 고분군

한자 勝利 古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길림성 통화시 통화현 대천향 승리촌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고분군
양식 봉토석실분(흙무지 돌방무덤)
조성 시기/일시 고구려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5년
소재지 길림성 통화현 대천향 승리촌
정의

길림성 통화현 대천향 승리촌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군.

위치

승리 고분군은 길림성 통화현 대천향 승리촌의 승리 소학(勝利小學) 동남쪽 약 200m의 작은 산기슭에 있다. 산기슭은 동서 방향이고, 높이는 약 50m이다. 산 아래에는 작은 강이 있는데, 산골짜기를 따라 남쪽으로 흘러 두도하(頭道河)로 유입되고, 맞은 편에는 높은 산이 자리 잡고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승리 고분군에는 원래 많은 고분들이 있었으나, 1985년 통화현 문물보사대에 의한 조사 때에는 4기의 고분만 남아 있었다.

형태

1985년 조사 때, 4기의 고분이 있었다. 고분 유형은 봉토 석실분[흙무지 돌방무덤]인데, 모두 파괴되어 빈 묘실[무덤칸]만 남아 있었다. 방향은 모두 동서향이다. M1은 비교적 큰데, 높이 1.5m, 동서 길이 7m, 남북 너비 6m이다. M2는 규모가 작은 편이다. M4는 높이 1.8m, 동서 길이와 남북 길이 모두 8m이다. M3의 경우, 형태 및 크기는 M4와 유사하다. 묘실은 약간 가공한 장대석으로 쌓았고, 평면은 장방형이다. 깊이는 0.7m, 서단은 1.6m, 동단은 1.7m, 길이는 2.3m이다. 묘실 바닥에는 석판이 깔려 있고, 네 모서리에는 흑회토(黑灰土)가 쌓여 있다.

출토 유물

지역 주민의 말에 의하면, M3 묘실 내에서 단지[罐]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현황

승리 고분군은 2013년 현재, 심하게 파괴되었다.

의의와 평가

승리 고분군은 고분의 형태로 볼 때, 고구려 시대의 고분군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 編纂委員會 主編, 『通化縣文物志』(1986)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中國地圖出版社, 1993)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