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리수구 고분군

한자 大梨樹溝 古墳群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고성진 와니전자촌 대리수구둔  
시대 선사/청동기
상세정보
성격 고분군
양식 석관묘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7년 7월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7년 10월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8년 8월
소재지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고성진[구 괴마자진] 와니전자촌 대리수구둔
정의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桓仁滿族自治縣) 고성진(古城鎭) 와니전자촌(洼泥甸子村) 대리수구둔(大梨樹溝屯)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분군.

개설

대리수구 고분군은 부이강 유역에 자리하고 있는 청동기 시대 돌널무덤[석관묘(石棺墓)] 고분군이다. 환인 지역이 고구려 초기의 중심지라는 점에서 고구려에 립 이전 이 지역 선행 고분 문화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위치

대리수구 고분군은 요령성 본계시 환인만족자치현 고성진[구 괴마자진] 와니전자촌 대리수구둔 서북 150m의 산기슭 비탈진 곳에 자리 잡고 있다. 북부는 비교적 가파르고, 남부는 완만하고 평평하고, 동부는 작은 산맥이 가로로 놓여 있고, 서부는 산비탈 아래 마을길이 있고 그 아래 간파강(干巴江)이 있지만 현재는 양어장으로 바뀌었다. 그 서쪽 약 700m에는 혼강 지류인 부이강이 흐르고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1987년 7월 환인진에서 도로 건설을 위해 흙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돌칼[石刀], 관(罐) 등 다수의 유물과 사람의 정강이뼈[脛骨] 잔편을 발견하였다. 그해 10월에 본계시 박물관, 환인현 문관소가 시굴 조사를 실시하였으나, 무덤은 발견하지 못하고 토제 어망추[網墜] 1점만 수습하였다. 1988년 8월 최초 발견 지점에서 남쪽으로 약 10m 떨어진 지점에서 다량의 유물이 수습되었다. 이후 본계시 박물관과 환인현 문관소에 의해 여러 차례 조사가 실시되었고, 무덤에서 돌칼, 관, 발(鉢) 등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형태

현지인들의 증언에 의하면, 산비탈 위에 일찍부터 커다란 판석이 노출되어 있었는데, 이 판석들을 사용하기 위해 옮기는 과정에서 토기 편들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1987년 발견 당시의 상황을 살펴보면, 무덤이 위치한 곳의 토양은 모래를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는데, 당시 몇 개의 판석이 모래와 함께 미끄러져 내려왔으며, 이들 판석 가운데 하나가 아직 옮겨지지 않고 세워져 있었으나 점차 안으로 기울지고 있는 상태였다. 판석의 길이는 1.5m, 너비 약 1m, 두께 약 0.2m였다.

1988년 조사 당시 수습된 유물의 남측에는 3개의 괴석(塊石)이 담장의 기초처럼 나란히 배열되어 있었는데 무덤 기저부의 석렬로 판단된다. 현지인들의 증언과 발견 당시 상황을 고려해 보면, 대리수구 고분군의 무덤 형식은 판석 혹은 괴석을 쌓아 만든 돌널무덤[석관묘]일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 유물

1987년 조사에서는 돌칼, 관(罐), 토제 어망추[陶網墜] 등이 출토되었다. 1988년 조사에서는 토태에 모래가 혼입된 홍갈색 토기류와 방추차, 두 개의 구멍이 뚫린 돌칼[雙孔石刀], 돌도끼[石斧], 돌자귀[石錛] 등이 출토되었다.

의의와 평가

대리수구 고분군은 혼강 중하류에서 최초로 발견된 청동기 시대 고분군이다. 청동기 시대 돌널무덤은 환인 지역 고구려 이전 시기 선행 묘제로 파악할 수 있다. 환인 지역은 고구려 초기 활동 지역으로 대리수구 고분군은 혼강 유역의 청동기 문화와 전고구려(前高句麗), 고구려와의 연결 관계를 연구하는 데 있어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참고문헌
  • 桓仁滿族自治縣文物志 編纂委會, 『桓仁滿族自治縣文物志』(1990)
  • 梁志龍, 「桓仁大梨樹溝靑銅時代墓葬調査」(『遼海文物學刊』1991-2, 1994)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遼寧分冊(西安地圖出版社, 2009)
관련항목
이전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