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金華 古墳群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중국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금화향 금화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분군 |
|---|---|
| 양식 | 돌무지무덤 |
| 크기 | 동서 길이 약 500m, 남북 너비 약 300m |
| 문물|보호단위등급 | 혼강시문물보호단위 |
| 조성 시기/일시 | 고구려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0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6년 5월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4년 7월 11일 |
| 소재지 | 중국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금화향 금화촌 |
중국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장백조선족자치현(長白朝鮮族自治縣) 금화향(金華鄕) 금화촌(金華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군.
1960년에 장백현 문물보사대(文物普査隊)가 조사하였다. 1986년 5월에는 고분군을 재조사하면서 6기의 고분을 발견하고, M1~M6으로 번호를 부여하였다. 그리고 2004년 7월 11일에는 길림성장백산 문화 연구회(長白山文化硏究會)와 백산시 문관판(文管辦)·집안시 박물관이 압록강 상류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 파견한 장복유(張福有)·장전갑(張殿甲)·지용(遲勇)·손인걸(孫仁傑) 등에 의해 조사가 이루어졌다.
금화 고분군이 위치한 곳의 지세는 평탄하다. 고분군의 규모는 동서 길이 약 500m, 남북 너비 약 300m이다. 1986년 조사 때에는 6기의 고분이 있었다. 고분의 유형은 돌무지무덤[적석묘]으로, 평면은 타원형이다. 각 고분의 크기는 다양한데, M1은 동서 길이 22m, 남북 너비 18m, 높이 1.2m, M2는 동서 길이 19m, 남북 너비 13m, 높이 1m, M3은 남북 길이 13m, 남북 너비 11.5m, 높이 1m, M4는 남북 길이 12m, 남북 너비 11.5m, 높이 1m, M5는 동서 길이 19m, 남북 너비 16m, 높이 1.3m, M6은 동서 길이 15m, 남북 너비 13m, 높이 1m이다.
철제 화살촉이 출토되었다.
2013년 현재 지방 도로가 금화 고분군 중앙을 남북으로 통과하고 있다. 혼강시 문물 보호 단위로 지정되어 혼강시(渾江市)의 관리와 보호를 받고 있다.
금화 고분군의 고분 유형이 고구려 초기에 유행한 돌무지무덤인 점과 출토된 화살촉 등을 통해 볼 때 고구려 시기의 고분군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