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良種場 古墳群[長白朝鮮族自治縣]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중국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십사도구진 간구자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분군 |
|---|---|
| 양식 | 계단식 돌무지무덤, 방형 기단 돌무지무덤 |
| 조성 시기/일시 | 고구려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60년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6년 6월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4년 7월 11일 |
| 소재지 | 중국 길림성 백산시 장백조선족자치현 십사도구진 간구자촌 |
중국 길림성(吉林省) 백산시(白山市) 장백조선족자치현(長白朝鮮族自治縣) 십사도구진(十四道溝鎭) 간구자촌(干溝子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군.
1986년 조사 때 확인된 8기의 고분은 대체로 남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분포 면적은 남북 길이 약 150m, 동서 너비 약 100m이다. 고분의 평면은 장방형[M1, M3, M4, M6, M7]과 원형[M2, M8] 등 두 가지가 있고, 형태는 계단식 돌무지무덤[계단 적석묘 : M3, M4]과 방형 기단 돌무지무덤[방단 적석묘 : M1, M2, M5, M6, M7, M8]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각 고분들은 크기가 같지 않는데, M1은 길이 7m·너비 7m, M2는 직경 9m, M3은 동서 길이 12m·남북 너비 8m, M4는 남북 길이 20m·동서 너비 9m, M5는 길이 4m·너비 4m, M6은 동서 길이 16m·남북 너비 8~10m, M7은 길이 9m·너비 9m, M8은 직경 7m이다. 높이는 대체적으로 0.5~1m 사이이다.
양종장 고분군의 고분 형태가 고구려 시대의 고분군인 금화 고분군(金華古墳群)의 고분과 유사하고, 부근에 고구려 시대의 촌락 유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양종장 고분군은 고구려 시대에 축조된 것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