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자 | 砬臺 古墳群 |
|---|---|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 유형 | 유적/고분 |
| 지역 | 중국 길림성 임강시 육도구진 입대촌 |
| 시대 |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
| 성격 | 고분군 |
|---|---|
| 양식 | 기단 돌무지무덤|방단적석묘 |
| 크기 | 동서 길이 약 200m, 남북 길이 200m |
| 조성 시기/일시 | 고구려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4년 5월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1987년 5월 |
| 발굴 조사 시기/일시 | 2004년 7월 10일 |
| 소재지 | 중국 길림성 임강시 육도구향 입대촌 |
중국 길림성(吉林省) 임강시(臨江市) 육도구향(六道溝鄕) 입대촌(砬臺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군.
입대 고분군에는 원래 40여 기의 고분이 있었다고 한다. 그러나 1984년 5월 혼강시 문물보사대(文物普査隊)가 조사할 때에는 5기의 고분만이 남아 있었다. 임강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기 전인 1987년 5월에 길림성 문물 고고 연구소(文物考古硏究所)의 석초원(石肖元)·장립부(張立夫)·장립신(張立新)·왕홍봉(王洪峰) 등과 혼강시 문물관리위원회의 장전갑(張殿甲)에 의해 조사가 이루어졌다.
그리고 2004년 7월 10일에는 길림성장백산 문화 연구회(長白山文化硏究會)와 백산시 문관판(文管辦)·집안시 박물관이 장복유(張福有)·장전갑(張殿甲)·지용(遲勇)·손인걸(孫仁傑) 등에게 압록강 상류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조사하게 하였다. 이때 입대 고분군도 조사하였는데, 당시 15기의 고분이 남아 있었다고 한다.
입대 고분군의 규모는 비교적 큰데, 동서 길이 약 200m, 남북 길이 200m이다. 가장 큰 고분은 9×9m, 작은 고분은 5×5m 정도인데, 모두 파괴되어 원래의 모습을 확인하기 어렵다. 지역 주민들의 말을 참고해 볼 때, 고분의 유형은 주로 기단 돌무지무덤[방단 적석묘]으로 추정된다.
입대 고분군은 1950년대 말부터 파괴되기 시작하여, 1970년대 중반에는 고분이 거의 다 없어졌다. 2013년 현재 고분군의 흔적조차 찾을 수 없는 상태이다.
입대 고분군은 고분의 형태로 볼 때, 고구려 시대 고분군으로 추정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