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천 고분군[임강시]

한자 長川 古墳群[臨江市]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고분
지역 중국 길림성 임강시 사도구향 장천촌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상세정보
성격 고분군
양식 기단 돌무지무덤, 방단 적석묘, 적석연접묘 등
조성 시기/일시 고구려
발굴 조사 시기/일시 1987년 5월
소재지 중국 길림성 임강시 사도구향 장천촌
정의

중국 길림성(吉林省) 임강시(臨江市) 사도구향(四道溝鄕) 장천촌(長川村)에 있는 고구려 시대의 고분군.

위치

장천 고분군은 중국 길림성 임강시 사도구향 장천촌 북쪽에 있다. 장천촌(長川村)은 사도구하(四道溝河) 우안의 대지에 위치하는데, 대지 남쪽으로는 압록강과 접해 있고, 북쪽으로는 산봉우리가 이어지고 있다. 지세는 좁고 길며, 개활하고 평탄하다. 서북쪽으로 약 3㎞ 떨어진 지점에는 사도구향 정부 청사가 있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임강 수력 발전소가 건설되기 전인 1987년 5월에 길림성 문물 고고 연구소의 석초원(石肖元)·장립부(張立夫)·장여신(張立新)·왕홍봉(王洪峰)과 혼강시 문물관리위원회의 장전갑(張殿甲) 등이 조사하였다.

형태

장천 고분군의 범위는 3개 구역으로 나뉜다. 고분들은 대지 북측 긴 산봉우리의 산간 평지 세 곳에 자리 잡고 있다. 제1 묘구는 장천 2대촌 과수원, 제2 묘구는 학교 북측 산간 평지, 제3 묘구는 장천 1대촌 뒤편[예전 학교 터]에 있다. 각 묘구 간의 거리는 약 1㎞이다. 지역 주민들의 말에 의하면, 제2 묘구에 고분이 가장 많았으나, 과수원과 계단식 밭으로 개간되면서 파괴되었다고 한다. 1987년 조사 때에는 제3 묘구가 가장 잘 보존되어 있었지만, 지역 주민들이 집을 짓기 위해 고분의 돌을 가져가면서 파괴되었다.

장천 고분군에는 6기의 고분이 비교적 잘 남아 있다. 3기는 기단 돌무지무덤[방단 적석묘]로, 한 변의 길이는 5~6m 정도이다. 1기는 적석 연접묘로, 길이는 12m, 너비는 5m이다. 나머지 2기는 기단 돌무지무덤[방단 적석묘]이지만, 기단이 없어지면서 무기단 적석묘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용석(熔石)이 보이는 것으로 볼 때, 화장을 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출토 유물

지역 주민의 말에 의하면, 1987년에 제1 묘구와 제2 묘구에서 단지[陶罐], 철제 칼, 화살촉이 발견되었고, 제3 묘구에서는 단지[陶罐], 동제 장식[銅飾], 철제 괭이[鐵钁] 등이 발견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1987년 조사 때에는 철제 괭이[鐵钁] 2점, 석제 화살촉이 발견되었다. 철제 괭이[鐵钁]는 단조품으로, 날은 휘어져 있는데, 현재의 자귀[錛]와 유사하다. 한 점은 비교적 길고 어깨 부분[肩部]이 명확하나, 다른 한 점은 비교적 짧고 어깨 부분이 명확하지 않으며 위에는 장방형의 구멍[銎]이 있다. 돌화살촉은 마제로, 옅은 녹색을 띤다. 촉신은 버들잎 모양이고 등이 솟아 있다. 뒤에는 도자(倒刺)와 둥근 기둥 형태의 짧은 정(鋌)이 있다. 전체적인 형태가 서마(西馬) 유적에서 나온 화살촉과 유사하다.

현황

2013년 현재, 제2 묘구는 과수원과 계단식 밭으로 개간되었고, 제3 묘구 역시 지역민들이 집을 짓기 위해 돌을 가져가면서 파괴된 상태이다.

의의와 평가

장천 고분군의 고분 형태, 구조, 부장품은 고구려식과 유사하므로, 고구려의 고분군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고분군에서 출토된 자귀식(鏟式) 괭이(钁)는 다른 고구려고분에서는 출토되지 않는 것인데, 토착 문화 혹은 고구려 이전 시기의 유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王洪峰, 「臨江電站庫區古遺存調査綜述」(『博物館硏究』1988-3, 1988)
관련항목
이전 TOP